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위한 불법개간은 절대 금지되어야하며,
번식
기인 5~7월엔 흰물떼새와 쇠제비 갈매기 등이
번식
하는 사구(특히무지개등과 갈매기등)에는 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도란행위가 성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아직까지도 상류와 주변에서 유입되는 산업폐수와 그밖의 오염원을 줄여 나가도록 규제를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10억마리로 최고도에 달한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젖산균은 창자 속의 유해한 균의
번식
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뭐니뭐니 해도 김치는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이다. 비타민C는 배추 1백g당 40mg, 무우에 30mg정도 들어 있다. 그러니까 김치를 하루에 1백g만 먹어도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비타민C 하루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방법론을 연구 하려면 우선 약에 관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생명체의 특징은 종족을
번식
시키려는 소위 자기복제(自己復製)와 개체를 지탱하려는 항상성 유지(恒常性 維持)라는 본능적 특성이 있다.어떤 원인에 의하여 항상성의 균형이 깨어져 비정상적으로 되는 것은 질병이라하여 이를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많이 먹어치웠는데 농어처럼 큰 고기는 이런것을 먹지 않는다. 따라서 모기가 보다 많이
번식
하게 된것이다. 전문가들과 세계 식량농업기구는 빅토리아 호수의 이런 상황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갖고 트롤어선등 현대 장비를 동원, 농어를 박멸해야 할것이라고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호수를 끼고 ... ...
새로운 종은 죽거나 생식능력이 없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노새) 즉 자기 대(代)로서 생을 마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새로운 종의 탄생과
번식
즉 진화가 가능한가?최근 캠브리지대학 발생학 교수들이 과일파리(fruit fly)로 실험을 거듭해서 유사종의 탄생에는 성공했다. 대부분의 잡종이 부화단계에서 죽었지만 극히 일부는 살아서 성충이 되었다.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곳에 따라서는 어장을 망치는 해수(害獣)로 몰려 학살을 당하는 일도 있었다.돌고래의
번식
기는 봄에서부터 가을까지. 발정한 수컷은 끈질기게 암컷을 따라다니며 구애를 한다. 교미는 암수가 배를 맞대고 수면밑 얕은 곳에서 한다. 흰긴수염고래따위의 대형 고래들이 쫓거니 쫓기거니 격렬한 구애 ... ...
남극해 요트로 도전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얼음이 없는 섬도 있었다. 그런 섬은 극지새들의 중요한
번식
처다. 그 중에는 아주 넓은
번식
지도 있었다. 아델리펭귄 도둑갈매기 등검은 갈매기…등등. 비교적 살풍경한 해안선만 따라 며칠이고 가다가 갑자기 이런 야생동물이 떼지어 있는 곳에 이르렀을땐 약간 충격적이었다.필자는 바쁘게 ... ...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매우 귀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도 하다. 이때 세균의 가장 훌륭한 특성은 빨리
번식
한다는 점. 대부분의 세균은 세포가 2등분하는 간단한 횡분열로 증식한다. 대장균의 경우 불과 20분만에 한 세대가 끝나는데, 조건이 맞으면 하나의 대장균 세포가 하룻밤새 20조개로 불어날 수 있다. 이런 특성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균사가 뿌리의 역할을 한다면 포자는 곰팡이의 꽃인 셈이다. 곰팡이는 이 포자로
번식
하는데 복잡한 생식과정을 거친다.유용한 곰팡이, 해로운 곰팡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곰팡이는 그다지 종류가 많지 않다. 그러나 자연계에는 공기 물 흙 바다 할 것 없이 곰팡이는 유기물이 있는 ... ...
전세계 350여마리뿐이라는 노랑부리 백로 1백여마리 서해 무인도에 숨어 살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줄것을 요청키로 했다.조류학자들은 신도가 노랑부리백로등의 집단
번식
지가 된것은 육지에서 먹이인 민물고기나 민물조개등이 귀해진데다 먹이들이 농약에 오염됐기때문으로 보고있다.희귀한 새들이 사람들이 저지르는 먹이오염과 무분별한 개발을 피해 스스로 외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