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분야의 과학책과 기사들을 마음껏 읽으면서 소설을 구상하고, 과학자들이 쓴 논문과 보고서에서 약간의 세부내용을 가져온다. 현실보다 과장된 상상적 과학과 영웅 같은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쓴다. 과학의 현실에서 살짝 벗어난 과학의 환상을 유지하는 것이 소설가인 나에게는 중요한 임무다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몸의 상태를 알기 위해 ‘인바디(InBody) 측정’을 합니다. 헬스트레이너인 저는 이 결과를 보고 운동 프로그램을 짜는데, 이때 수학적으로 사고해서 회원의 현재 몸 상태, 목표치, 운동 수행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2019년에는 서울시 50플러스가 후원하는 유튜버스쿨에 지원해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000종의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도 전염된다. 한편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난 7월 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후변화, 인간의 동물 단백질 수요 증가 등으로 인수공통 감염병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동시에 환경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런 감염병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 경고했다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제공된다. 또한 지도를 보며 다양한 사건들을 되짚어 보고 토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한 예로 2013년, 2019년 숭례문 주변 지도를 비교해 문화재의 소중함을 느끼고 공공의식을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는 시간이나 장소 등이 모두 자유다. 각자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시험을 보고 마감 기한 안에 답안지를 제출하면 된다. 제한 시간조차 학생들 양심에 맡긴다. 그래서 과목 난이도에 따라 시험 시간표를 조정할 수 있다. 쉬운 과목부터 먼저 끝내놓고, 어려운 과목은 조금 더 공부한 뒤에 ...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는 영구동토층 이외에도 빙하의 손실 역시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집중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랍니다. 대체 에너지로 지구 온난화 늦춘다!연세대학교 심우영 교수팀은 신경세포를 모사해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 중이에요. 인간의 신경세포(뉴런)에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직접 대결해보니AI가 판례를 분석하고 환자도 보는 세상이라지만 수학 문제를 직접 보고 푸는 건 또 다른 영역이 아닌가. 10년간의 과외 경력으로 ‘수학부심’ 있는 기자는 AI의 수학 문제 풀이 실력에 호기심과 의구심을 품었다. 구글이 ‘홈워크(HomeWork)’를 출시하기 전이니, 시중에 개발된 AI 수학 ... ...
-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이 일어났다며 더베르크가 사망 현장에 있던 빈도수가 다른 간호사에 비해 높다고 보고했어요. 파울 스미츠 병원장은 환자가 중태에 빠졌을 때 더베르크가 현장에 있었던 횟수를 계산했죠. 그 결과 더베르크가 율리아나 아동 병원에 근무했던 9개월 동안 1029번의 간호사 근무조 교대가 있었고,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 진로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경제산업성·문부과학성은 ‘수리자본주의의 시대: 수학의 힘이 세상을 바꾼다’ 보고서에서 이렇게 단언하며 수학이 국부의 원천이 되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밝혔습니다.1·2차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영국 역시 ‘수학이 AI, 자율주행 자동차, 항공우주 등 4차 산업혁명의 심장이 됐다’며, 수학 ...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후천적 면역시스템은 1987년 아츠오 나카타 일본 오사카대 교수에 의해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됐다. 나카타 교수는 대장균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던 중 특정 염기서열이 반복되는 회문구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128/jb.169.12.5429-5433.1987이후 여러 연구자들은 이 구조가 바이러스에서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