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걸 말합니다. 그러면 소비자는 가상 피팅 서비스를 이용해 AI가 디자인한 옷들을 입어보고 가장 선호하는 옷을 고르고, 3차원 패션 디자인 플랫폼이 소비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에 따라 실제로 옷을 디자인하고 로봇이 제품을 만든 뒤 집으로 배송해주는 거죠. 가까운 미래에는 스스로도 깨닫지 못하는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8000건의 관측 기록을 분석했고, 현재는 2단계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의 관측 기록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점과 선으로 태양 폭풍을 기록하라! 시민천문학자가 태양 폭풍 연구에 도움을 주는 방법은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태양 폭풍 사진에서 물결처럼 일렁이는 가장 앞의 경계 부분과 밝은 부분의 ...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하며 졸업 논문을 썼고, 졸업 후 이곳에서 일하게 됐습니다. Q 꽃가루만 보고 사건을 추리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꽃가루는 식물의 지문과 같은 거예요. 그래서 꽃가루의 조합을 보면 사건이 벌어진 장소, 이동 경로 등을 알아낼 수 있죠.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특이한 수입 식물을 ...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용자의 항문과 ‘볼일’을 찍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은 항문의 모양을 보고 누구인지 알아낸 뒤, 장 건강을 확인하는 데 쓰이는 ‘브리스톨 분류표’에 따라 대변을 7가지로 분류해요. 이를 통해 배변 장애, 항문 출혈 등이 있는지 확인하죠. 또, 소변이 떨어지는 속도와 양을 측정해 ...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휠체어를 타게 됐어요. 콜로플라스트라는 기업에서 발행한 하반신 마비에 관한 보고서를 읽다가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레고로 경사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그 뒤, 프랑크푸르트 동네 주민들을 위해 레고로 경사로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휠체어 사용자, 유모차를 끄는 부모들이 레고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먼저 푸는 것이 규칙이다. 두 번째는 거듭제곱이 있는 식이다. 32은 3×3이므로 곱셈으로 보고 연산 규칙①에 따라 (-8)×5-27÷3×3=(-40)-9×3=-40-27=-67이라고 계산하면 답이 틀린다. 거듭제곱을 먼저 한 뒤 나머지 규칙에 따라 계산해야 한다. 즉 (-8)×5-27÷9=(-40)-3=-43이 정확한 답이다. 다음은 드디 ...
-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사랑한 캐릭터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뭐예요. 혹시 이 길고 긴 보고서에 인기 캐릭터의 비결이 숨어있지 않을까 아주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수학동아 탐정클럽이 인기 캐릭터의 비결을 밝히고 수학동아 캐릭터와 함께 큰 인기를 누릴 생각을 하니 피식피식 웃음이 나는군요…, 후후. ‘캐릭터 전성시대’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 ...
- [4회] 도전!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오늘 같이 해볼 요리는 소셜네트워크 분석이에유. 다들 트위터 알쥬? 먼저 이거 한번 보고 할게유. 제가 방탄소년단 공식 트위터 게시물을 분석한 거예유! 분석 결과를 통해 방탄소년단 멤버들이 어떤 생각과 말을 하는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방탄소년단이라는 단어보다 ‘아미, 감사, 생일, ... ...
-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한민국을 덮친 벌레의 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대응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 참고자료기상청·환경부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 박해철 ‘기후변화가 곤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외 연구 분석’, 장철현·유대영 ‘깔따구, 곤충의 친환경적인 포집방안에 관한 연구’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모방한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예요. 사람은 사진 속 강아지의 귀, 꼬리, 털 등의 특징을 보고 강아지라고 판단하잖아요. 합성곱 신경망 역시 전체 이미지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특징을 통해 어떤 사진인지 판단해요. 합성곱 신경망이 어떻게 제 팔꿈치를 찾는지 그 원리를 설명해볼게요.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