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한 줄 서기 vs 여러 줄 서기, 얼른얼른 빨리빨리~!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신동윤 서울시립대 수학과 교수는 2015년에 간단한 실험을 했어요. 한 줄 서기와 여러 줄 서기 중 어느 쪽의 줄이 실제로 빨리 줄어드는지 알아봤지요. 실험에 참여한 학생 20명 중에서 3명은 빨간색, 5명은 파란색, 12명은 노란색 조끼를 입었어요. 빨간색 조끼를 입은 사람은 계산하는 데 5분이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이름을 많이 들었을 거예요. 지금은 투기 수단으로 조명받는 것 같아 안타깝지만, 여러 활용 가능성을 열어두고, 미래 세대의 무한한 상상으로 앞으로 암호화폐를 함께 완성해나갔으면 좋겠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태어났습니다. 그는 기계적 계산기를 발명하고 우주의 모습에 대해 고찰하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방대한 연구를 했어요. 지금처럼 과학자가 특정 분야의 연구만 하기 전 시대이기 때문에 가능했죠.그중 가장 잘 알려진 연구는 미적분법의 발명이에요. 그는 1673년, 미분 공식을 확립해 발표했어요. ... ...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일 정도로 팔이 길어요. 제 키가 178㎝인데 193㎝인 오상욱 선수와 팔 길이가 같거든요. 여러 종목 중에서도 긴 팔이 유리한 사브르를 선택했어요. 상대보다 먼저 팔을 뻗어야 공격권을 얻을 수 있거든요. 문채원 : 선수님만의 승리 비결이 있다면요? 김정환 : 경기에 최대한 집중하고 몰입하는 거요! ... ...
- 우동수비대 지역특파원, 어떤 일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대원서울-경기 특파원 김시윤 대원우수특파원 인터뷰 경기 특파원 도소현 대원“여러 동물원을 방문해 비교하세요!” Q 다녀온 동물원을 소개해주세요!저는 경기도 하남의 모 동물원에 다녀왔어요. 라쿤과 금강앵무, 미어캣, 토끼 등을 조사했는데, 사막여우가 조는 모습이 가장 귀여웠어요.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프로그래밍 된 암호화폐는 단순한 투자 수단이나 통화의 개념을 넘어, 비대면 시대에 여러 방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어요. 동국대학교 박성준 교수는 “암호화폐는 점차 대중화되고, 개인의 권력이 극대화되는 세상이 올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술로 우리 모두가 ... ...
- [기획] 코로나19 때문에 살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콜레스테롤 수치도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요.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으면 여러 질병을 일으킬 수 있어요. 코로나19와 체중 증가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요? 안문배 교수는 “비만은 유전이나 생활 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등교 대신 원격 수업을 듣는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관심 있던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앞으로도 지구에 일어나는 여러 기후 재난을 해결할 방법을 찾아볼게요! 김다윤(위례한빛중학교) 2021 제7회 별빛미션 금성에서의 1박 2일은? 금성을 탐험하기 전 과학자들은 금성이 지구와 가까우면서도 크기가 비슷해 외계인이 살 ... ...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가져야 하는 이유는요?암호화폐의 등장은 새로운 화폐시장의 혁명과도 같아요. 따라서 여러 나라에서는 미래를 선점하기 위해 앞다투어 디지털 형태의 화폐들을 개발하고 있죠. 어린이들도 미래의 화폐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 새로운 문화 환경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해요. 우주과학자 안에도 이론물리학, 로켓공학, 에너지공학 등 여러 분야가 있거든요. 책을 보고 공부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경험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랍니다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