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야생에서 살아남는 비결, 코딩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때는 리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하나의 리스트에 여러 가지 값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단, 하나의 리스트에는 같은 형식의 값만 저장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숫자와 문자는 같은 리스트에 저장할 수 없답니다. 네 번째 발견한 동굴로 이동하기1동굴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자리에 앉아 에코미터 속 초음파를 살폈어요. 관박쥐, 긴가락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등 여러 박쥐 초음파가 확인됐지요. 지난해부터 박쥐 탐사를 해온 딸랄랑구 팀의 김선우 대원은 “청계천, 서울숲 등에서 박쥐를 찾았는데, 제주에 이렇게 많은 걸 보고 정말 놀라웠다”며, “엄청나게 많은 박쥐를 ... ...
- [과학 뉴스] 미션 루시, 소행성을 향한 비행 임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정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는 지점이라, 중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어요. 트로이군에는 여러 소행성이 있는데, 이들은 P형, D형, C형으로 나뉘어요. P형과 D형은 검붉은 빛을 띠고, 해왕성 궤도 너머로 펼쳐진 얼음덩어리들과 성분이 비슷해요. C형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 외곽 지역에서 ... ...
- [기획] 우주 승객 ‘블롭’,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슬라임처럼 끈적한 생명체. 지구의 생명체라고는 믿기 어려운 ‘황색망사먼지’를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블롭의 ISS행은 외계생명체가 고향으로 가는 꼴?!“놈이 지성이 있었다면, 놈을 설득할 수 있었다. 놈이 눈이 있었다면, 놈을 마주볼 수 있었다. 놈이 형체가 있었다면, 놈을 쏠 수 있었다.”1 ... ...
- [파고캐고 지질학자]주왕산 정상이 평평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흘러가지요. 계곡은 시간이 흐르면서 침식되어 V자 모양의 계곡이 됩니다. V자 계곡이 여러 방향으로 생길수록 산 정상은 점점 뾰족한 모양으로 변하지요.주왕산은 제주도 한라산처럼 화산폭발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한라산은 물론, 전국 여느 곳의 산과도 다르게 생겼습니다. 바로 봉우리가 ... ...
- [4컷 만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8월 10일,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은 주변 사물의 색에 따라 몸 색깔을 바꾸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 최근 건축, 예술, 패션 등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며 “카멜레온 인공 피부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9월 15일 파일럿으로 진행될 예정이에요! ‘그래비트랙스’로 함께 보드게임을 즐기며 여러 수학과 물리법칙 등을 알아볼 계획이지요.그래비트랙스를 이루는 육각형에 숨겨진 비밀과 손을 대지 않고도 공을 굴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이번 수업을 놓쳐 아쉽다고요? 다행히 하반기부터 ... ...
- [통합과학 교과서] 너의 목소리를 들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수 있는 거죠.헤드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헤드폰을 쓴 사람에게 초음파를 여러 방향에서 들려주었어요. 실험 결과, 원래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소리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초음파를 들을 수 있었어요. 빌 풀키 연구원은 직접 박쥐가 출몰하는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으로 N서울타워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마인크래프트에서 건축은 많은 플레이어들이 즐겨하는 활동이에요. 코딩을 활용하여 건축하면 거대한 건축물을 빠르게 만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 ... 잇는 블록 하나로 선 모양을 만들지만, ‘블록 채우기’ 명령은 시작과 끝을 잇는 직육면체 공간을 여러 블록으로 모두 채운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달리해 다양한 모양의 방을 만든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야생 벌은 인접한 여러 장소에서 동시에 집을 만들어 하나로 이어 붙여요. 연구팀은 야생의 벌들이 어떻게 벌집을 만드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지요. 먼저 연구팀은 12개 집단의 꿀벌들이 벌집을 짓는 과정을 관찰하고, 꿀벌이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