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클레망 아데르가 1897년 만든 ‘아비옹’은 박쥐 모양의 날개로 날갯짓을 하는 구조였죠. 아비옹에는 20마력 증기기관을 두 개 사용했습니다. 산업혁 ... 포착되지 않는 은폐 기능을 의미합니다. 레이더는 B-2 스텔스 폭격기를 고작 참새 크기로
인식
합니다. 날개 길이가 52.4m나 되는데 말이죠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아이폰의 음성
인식
‘시리’에도 음성
인식
에 인공지능 기능이 추가됐다. 단순히 명령어 검색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클라우드 ... ...
[3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일반 독자들도 이 기사를 봤다면 과학 선진국이 되려면 사람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는
인식
을 자연스럽게 가질 것이다.분명 아쉬움도 있다. 인터뷰이가 소개한 에피소드에는 엔진 실험을 하다 사망한 희생자가 소개됐다. 드라마틱한 경험을 어떻게 극복했고 그 결과 어떤 과학기술을 확보하게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공 뇌도 산수에는 젬병일 것이다. 빠른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는 컴퓨터가, 패턴
인식
처럼 사람이 잘하는 분야에서는 인공 뇌가 활약하는 식으로 서로 보완할 가능성이 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직은 음성
인식
기술이 구현된 스마트패드가 없지만 머지않아 등장할 거야. 음성
인식
도 인터넷 안 되면 무용지물?아빠나 엄마가 스마트패드를 놓게 하는 방법이 뭐냐고? 간단해! 하지만 쉽지는 않을 거야. 무선인터넷이나 데이터통신을 끊으면 돼. 스마트패드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건 ... ...
괴짜 수학자, 농담도 잘 하셔!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모였다고 해서 급히 찾아왔습니다.‘수학은 어렵고 딱딱하다, 수학자들은 괴짜다’라는
인식
에 맞서 그동안 꽁꽁 숨겨 왔던 예능감을 선보이겠다지 뭡니까?수학자들이 농담 배틀을 펼칠 거라나요?안 돼~! 수학자들까지 농담하면 개그맨들은 다 뭐 먹고 살라고~! 안 돼~!수학자들은 진짜 괴짜일까 ... ...
지위가 높을수록 키 크다고 느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박사는 사람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지위와 권력에 대한 경험에 따라 자신의 키를 다르게
인식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우리 사회는 키가 작은 사람에게 호의적이지 않다. 큰 키를 위해 약물치료를 받기도 하고 조금이라도 커 보이려고 신발 속에 ‘키높이 깔창’을 끼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감마선과 거의 동시에 나오는 X선 광자를 검출해 우주에서 감마선폭발의 위치를
인식
한 뒤, 그 방향으로 인공위성 자체를 회전시켜 후광을 정밀하게 관측한다. 그런데 위성이 회전하는 데 약 60초가 걸리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 나오는 후광, 즉 초기광(early photon)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초기광의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분비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면역계가 암 백신 속에 있는 펩타이드나 단백질을 잘
인식
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면역강화제를 넣는데 면역계가 강화되면서 정상세포나 조직을 공격하는 자기면역강화의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하지만 희망은 있다. 지난해 전립선암 치료백신인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루가 길어지면 생체 시계가 느려진다. 사람과 비교하면 밤 12시를 오후 9시쯤으로
인식
하고 오전 7시는 새벽 4시쯤으로 느낀다. 따라서 일찍 침대에 누워도 잠이 오지 않고 아침이면 일어나는 게 힘들 수밖에 없다.생체 시계 유전자가 변하면 이렇게 수면 주기 뿐 아니라 필요한 수면 시간 자체가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