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만화뉴스] 매미충의 분비물, 투명 망토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브로코솜에 부딪히지 못하고 브로코솜의 구멍으로 들어가 버려. 사람뿐 아니라 자외선을 인식하는 새나 파충류의 눈에도 브로코솜 뒤에 있는 물체가 보이지 않게 되는 거야. 그렇다면 매미충은 왜 브로코솜을 바르는 걸까?연구팀은 매미충이 브로코솜을 몸에 발라 몸을 투명하게 만들고 ... ...
- [특집] 비둘기, 인간과 함께 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개체 수를 줄이는 것만으로 인간과 집비둘기가 함께 살기는 어려워요. 우리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개체 수가 줄어도 여전히 털 날림 등의 이유로 불편해 할 수 있죠. 동물자유연대 사회변화팀 정진아 팀장은 “집비둘기로 인한 실질적인 피해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민원이 많다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꽃이 피지 않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있었고, 이들은 지금의 꿀벌처럼 자외선과 청색, 녹색을 볼 수 있었습니다. 색깔을 인식해 방향을 찾은 덕분에 바위나 나뭇잎을 피해 안정적으로 날고 먹이를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가장 오래된 대륙 중 하나인 호주에서 바위, 흙, 나뭇가지, 나무껍질, 나뭇잎 등이 반사하는 빛을 측정하고 ... ...
-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만든 얼굴을 실제 사람으로 인식할 확률은 65.9%로, 진짜 사람의 얼굴을 실제 인간으로 인식할 확률보다 14.8% 높았지요. 에이미 다웰 교수는 “AI가 만든 얼굴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가려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딥페이크, 선거의 방해꾼? 올해는 전 세계 7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인류의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업, 보령에 가다!기사 l20250814
- 무슨 기계가 있는지 자세히 배우게 되어 약에 대한 거부감이 조금 없어지게 되었습니다.인솔 선생님께서 보령에는 문마다 지문 인식기가 붙어있고 교육을 받은 사람만 지문을 등록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제가 나중에 보령의 직원이 되어서 지문을 등록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주와 제약회사는 전혀 관련이 없을것 같은데 우주에 관심많은 어린이와 ...
- 음식 알레르기란 무엇일까요기사 l20250810
- 세균처럼 해로운 물질을 공격하는 역할을 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들의 경우, 몸이 특정 음식의 성분을 잘못 인식하여 위협으로 착각하게 됩니다. 그러면 그 음식을 섭취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납니다. 만약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면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먼저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음식 라벨을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때문에, 개인적으로 꼭 궁금했던 질문을 해보았습니다.“인공위성에서 사용되는 AI가 사물을 오해한다면, 혹시 다른 위성을 쓰레기로 인식할 수도 있지 않나요?”이에 대해 연구원님께서는 “AI는 위성들의 이름과 궤도, 사양 정보를 모두 알고 있으며, 각각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구분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동합니다. 실제로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AI는 자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잘 집는 특징을 모방하여 위성을 만들고 '꽂게위성 1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먼저 위성의 우주쓰레기 인식장치가 우주쓰레기를 인식하고, 큰 쓰레기는 바로 그물로 가고 작은 쓰레기는 집게발 속 관을 타고 그물로 가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지도 못한 2등을 하여 선물을 받게 되었습니다. 선물은 우산이었습니다. 1등은 박한별 기 ...
- 저만 막 애니보다 딴애니 능력 생각하나요ㅋㅋㅋㅋ포스팅 l20250728
- 8호 보다가..저:아ㅏㅏ 저기서 인식 저해 능력 쓰고 갔으면 이겼을텐데!! 괴수8호 보다가....저:번개의 호흡 쓰면 이길것 같은데!!! 괴수8호 보다가......저:원거리 공격이 좋으면 쿼츠쿼츠 해서 화살 쏘는건 어떤가요 아시로 대장님! 괴수8호 보다가...........저:칼 부러졌을때 클라라 가계능력 토이토이로 또 복제하면 참 쉬운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