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완성할 수 있답니다.“다 만들었어요! 그런데 불이 안 켜져요.”몇몇 친구들이 만든 전기 회로는 이상하게 제대로 불이 안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지 않았어요. 무엇이 문제였을까요?대부분은 회로를 완전히 닫지 않았던 것이 문제였어요. 회로를 닫는다는 건 전류가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흐르도록 ... ...
- Intro. 인공지능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즐거운 추석! 하지만 난 4시간째 차 안에 갇혀 있어. 어머니 말씀으로는 앞으로 3시간은 더 걸릴 거래. 평소엔 할머니 댁까지 가는 데 3시간이면 충분했는데…. 휴~, 운전하기 얼마나 힘드실까? 이럴 때 차가 날아갈 수 있다면 정말 좋을 텐데…!▼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지능 자동차Part 1. ... ...
- Part 1. 자동차, 도로를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꽉 막힌 도로 위를 슈웅~! 비행 자동차!가족과 함께 자동차를 타고 떠나는 여행은 언제나 신나지만, 꽉 막힌 고속도로에 몇 시간이고 갇혀있으면 금방 지루해져요. 그럴 때면 ‘날아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이 들지요. 그런데 실제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어요.미국에 위 ...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자동차가 하늘을 날고 물속을 달릴 수 있다니 정말 놀라워! 그런데 잠깐! 운전을 하던 아빠가 책을 보고 계시네? “아빠, 운전은 누가 하나요?”눈이 달린 자동차?자율주행자동차는 사람이 운전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자동차를 말해요. 1977년 일본 츠쿠바공과대학에서 미리 표시해 놓 ... ...
- [과학뉴스] 젤리처럼 피부에 찰싹 붙는 터치패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하이드로젤에 염화리튬을 넣어서 전기가 잘 통하도록 만들었어요. 그 다음 터치패널에 전기가 들어가고 나갈 수 있도록 네 귀퉁이에 전극을 달았답니다.이 터치패널에 손가락을 대면 각 귀퉁이에 있는 전극에 흐르는 전류가 달라져요. 그리고 손가락이 닿은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지요. 이런 원리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변전소와 전봇대를 어디에 설치하는 게 좋을까요? 가장 싼 가격으로 가장 많은 지역에 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게 좋겠죠? 즉,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경로를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최소 비용 신장 트리 알고리즘’이 쓰여요.먼저 신장 트리가 뭔지 알아볼까요? 신장 트리는 각 지점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있다. 서로 다른 극끼리는 당기지만 같은 극끼리는 밀어낸다. 고무와 비닐은 모두 (-) 전기를 띠기 쉬운 물질이다. 그래서 대전된 풍선에 비닐을 갖다대면 서로 밀어내면서 비닐이 공중부양하게 된다.세상은 3차원, 즉 입체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지만 사진이나 영상은 평면인 2차원으로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있기 때문이에요. 플랑크톤이 물리적인 충격을 받으면 세포막이 휘어지면서 세포막의 전기적인 성질이 바뀌게 돼요. 그러면 세포 안에 있던 야광물질 주머니 안으로 수소 이온이 들어가게 되지요. 그 결과 수소 이온 농도가 높아지면서 야광물질이 빛을 내기 시작한답니다.이때 신틸론 안에서 수소 ... ...
- Part 3. 미션 ➋ 태양전지로 에너지를 얻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근처에서 만드는 전기 에너지의 3분의 1 정도를 만들 수 있어요. 많은 양은 아니지만, 전기사용을 최적화시켜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김은혁 박사는 “주노의 태양전지판은 총 330kg 정도로, 웬만한 소형 탐사선 하나의 무게와 비슷하다”며, “더 가벼운 태양전지가 개발되면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넣었어요. 이 장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어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화가 생기면 전기가 흐르면서 빛이 나요. 이 인공피부는 원래 크기의 6배까지 늘어나고, 둘둘 말거나 길고 얇게 늘리는 등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꿀 수 있지요.연구팀은 인공피부를 활용해 애벌레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도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