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
2021.12.30
이 오래된 논문은 지금까지 겨우 32번 인용되었을 뿐이지만, 카탈린이 처음으로 RNA라는
분자
를 만나 사랑에 빠졌음을 보여주는 흔적이다 연구비도 단 한번 받지 못하고, 대학에서 쫓겨나면서까지 mRNA에 매달렸던 카탈린의 그 집념이, 식어가던 RNA치료제 시장을 살려낼 수 있었다. 카탈린 카리코가 ... ...
[랩큐멘터리]단백질 기능 결정하는 구조 분석해 신약 개발 속도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과거보다 좀 더 가까이 와 있다는 확신이 든다”고 말했다. 포스텍 종양억제
분자
구조 연구실 보러가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만드는 것으로 봐서 대략 1억 년 전 생겨난
분자
가 아닐까. 아데노신(왼쪽)과 카페인의
분자
구조로 아데노신의 염기(아데닌)와 카페인이 꽤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속씨식물 진화과정에서 커피나무와 차나무 등 30여 종이 해충의 신경계를 교란하는 카페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CNS 신경과학& ... ...
대장암 면역항암치료 효과 사람마다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6
대장암을 분류하고 치료표적이 될 수 있는 혈관신생 관련
분자
와 CD200같은 면역관련
분자
들도 찾아냈다. 김상우 교수는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양성 대장암의 면역반응 차이를 유전체 수준으로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김정호 교수는 “임상적으로 활용되는 표지자의 한계를 알게 된 만큼 ... ...
'천리안·소부장 국산화' 과학계 빛낸 연구...출연연 10대 우수성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4
우수 연구성과로 선정됐다. 초고속 방사선 기술을 활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
의 운동을 세계 최고 성능으로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관심이 모이고 있는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로보틱스연구본부가 개발한 ... ...
우주 기원 찾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25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수 있을 만큼 민감하다. 최대 1000광년(1광년은 약 9조5000억km) 거리에 있는 행성에서 산소
분자
를 확인할 수 있는 성능으로 제2의 지구도 탐색한다. 지구상에 설치된 천문대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불가능했던 관측이다. 천문학계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인류를 더 깊은 우주로 안내했지만 좁은 ... ...
백신 운반체 바이러스는 어떻게 외부 DNA를 세포핵에 전달할까
연합뉴스
l
2021.12.22
세포핵 안으로 DNA를 방출할 때 단백질 외피를 벗겨내는 데 필요했다. 취리히대(UZH)
분자
생명과학과의 우르스 그레버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7일(현지 시각)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논문으로 실렸다. 아데노바이러스 입자(Adv)가 인간 세포핵의 핵 기공 ... ...
[과기원은 지금]형광 염색없이
분자
정보 보는 현미경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21
개념도. KAIST 제공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20일 형광 염색 없이
분자
정보를 볼 수 있는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현미경 기술은 형광 표지 없이도 형광 현미경의 특이적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홀로그래픽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의 장점만을 갖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양자와 이온의 상호작용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8
공명이 관찰되면서 이온과 원자 사이 양자 현상이 관찰된 것이다. 네이처는 개별
분자
나 원자, 이온의 물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면 양자정보처리 기술이나 양자 계량 같은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에서 자기장으로 양자의 상호작용을 조절할 수 있음을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RoseTTAFold)’를 개발했다. 미국 워싱턴대 제공 단백질은 모든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생체
분자
로 구조에 따라 매우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갖는다. 단백질 구조 해독이 생명과학 연구와 신약 개발에 획기적 전기 마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사람이 실험을 통해 직접 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