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제위원 75%가 교수…“고교생 수준 몰라”
동아일보
l
2014.11.19
문항을 만들면 검토위원을 맡은 교사들이 문제를 풀어보고 이상 여부를 판단해 문항
수정
을 요청하는 식이다. 수능 검토위원으로 참여했던 한 고교 교사는 “교수들이 고교생들의 지적 수준이나 학습 정도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번 생명과학Ⅱ 문항에 대해서도 학교와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11일 밝혔다. ETRI는 이번 안을 2011년 말 IEC에 처음 제안한 뒤 3년에 걸친 논의와
수정
끝에 국제표준으로 확정시켰다. ETRI 측은 모든 전기제품의 수·출입 시 안전시험을 통해 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이번 국제표준에 이러한 안전 인증을 위해 OLED 조명의 각종 전기적·기계적 특성의 ... ...
32일 된 태아가 품은 1억 년 진화의 비밀
2014.11.09
책은 태아에 대한 해부 정보와 비교해 인간의 발생을 철학적으로 엿본다. 미키 시게오는
수정
된 지 32일 된 인간 태아 표본을 바라보던 중, 마치 상어와 닮았다는 느낌에 다양한 태아 표본을 바라본다. 태아는 36일째에는 고대 파충류 ‘투아타라’의 얼굴이더니, 38일째가 돼서야 비로소 포유류의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그런데도 이 생쥐는 정상적으로 자라 정자를 만들었다. 성숙한 정자는 아니었지만 인공
수정
을 통해 새끼를 만들 수 있었고 이 새끼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자랐다. Y 염색체에 유전자 2개만 있어도 자손에게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 이 연구는 해당 유전자 2개를 다른 ... ...
[2014 국정감사]과학문화 확산 사업, 수도권에 편중
2014.10.17
2011년 부산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축전 현장 - 동아일보DB 제공 과학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 수도권에 편중돼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 창의재단에 대한 국정감사가 8월에 열릴 것으로 예상하며 준비했던 자료여서 제대로
수정
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 ...
12월부터 에볼라 감염자 1주일에 1만 명씩 는다
2014.10.15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탔다. Z맵을 개발한 미국 맵바이오파마큐티컬사는 공정을
수정
해 지금까지 소량밖에 만들 수 없던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 최근 밝혔다. 하지만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신약인 Z맵을 환자에게 투여해도 되는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뱀 로봇의 이동 프로그램을
수정
했다. 로봇이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비율을
수정
해서 바닥에 닿는 표면적을 최대화하자 뱀 로봇도 모래언덕을 올라가는 데 성공했다. 조 멘델슨 애틀란타 동물원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외계 행성과 건물 붕괴 현장, 고고학 탐사 ... ...
요즘 대세 쌍둥이, 자꾸 태어나는 이유는?
2014.10.10
인종, 지역 등에 관계없이 250번 분만할 때마다 한 번꼴로 태어난다. 난자의 노화 등으로
수정
란이 자연스럽게 분리돼 쌍둥이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일란성 쌍둥이의 정확한 발생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일란성 쌍둥이의 생김새가 같다고 해서 유전자까지 일치하지는 않는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바로잡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시기는 4만여 년 전으로
수정
돼야 한다. - 네이처 제공 영국 옥스퍼드대의 고고학자 탐 하이엄 교수는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 ...
황우석 줄기세포 스캔들 그 후 10년
2014.09.19
분화시켜 세포가 8개인 8배반포까지 얻는 데 성공했으며, 2009년 영국 연구팀은
수정
란에서 얻은 배아줄기세포로 정자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황 박사가 성공했다고 단언했던 인간배아줄기세포 복제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제대로 된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