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꽃…알고보면 인간을 '쥐락펴락' 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8
꽃가루에 든 정자 2개는 각각 다음 자손이 될 배와 싹을 틔울 때 쓸 양분인 배젖으로 중복
수정
된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쌀로, 이는 탄수화물 형태로 저장된 배젖이다. 해바라기, 포도, 카놀라 등의 배젖에는 불포화지방이 많아 식용유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진화심리학자는 “인간이 꽃을 ... ...
수정
란에서 배아줄기세포 획득 성공
과학동아
l
2014.03.27
완전히 자유로울 순 없을 거란 지적도 여전히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진은
수정
란이 2개로 갓 분열했을 때 핵을 제거하고 체세포의 핵으로 치환하는 방법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얻고, 새끼 쥐를 탄생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 - 네이처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하지만 놀랍게도 이번 관측자료는 30년 전 린데 박사가 구스의 인플레이션 이론을
수정
해 제시한 ‘혼돈 인플레이션’ 이론과 잘 들어맞는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흥미롭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이번 발견성과에 대해 제시한 해설자료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이론 중에서 가장 단순한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즉 이야기는 선택 작업이고 따라서 “기억의 자취는 그 역사성 때문에 늘 재정리되고
수정
되는 과정에 놓인다”는 말이다. 그런데 오늘날은 기억조차 ‘고물가게’로 또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다량의 온갖 이미지와 닳아빠진 상징들이 완전히 뒤죽박죽으로 꽉 차 있는 창고’로 전락하고 ... ...
3D프린터로 전기차를? 美 로컬모터스의 남다른 시도
동아일보
l
2014.03.20
자동차를 디자인 한 후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들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디자인
수정
을 반복하는 기존의 과정을 벗어나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함께 일하면서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랠리 파이터(Rally Fighter)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 ...
400년 만에 '新다면체' 발견
과학동아
l
2014.03.09
영감을 얻어 완벽한 구가 되지 않았던 기존의 골드버그 다면체를 수학적으로 약간
수정
해 구 형태의 다면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세인 박사는 “처음 이 형태를 봤을 때 다면체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며 “연구가 진행되면서 기존 다면체의 틀을 뛰어 넘는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 ...
교과서 왜곡 논란, 수학교과서도 예외 아니다
수학동아
l
2014.03.07
참여한 박제남 교수는 “제가 디오판토스의 묘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그 내용을
수정
했더라도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를 심의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교과서의 내용을 바꿀 수 없다”고 지적했다. 수학교과서의 인정 기관인 인천교육청 관계자는 “심의과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그 내용을 ... ...
선천적으로 음악 못 즐기는 사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마찬가지로 쾌감을 느낀 것. 연구팀은 “음악이 ‘만국 공통어’라는 비유는 앞으로
수정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응용하면 다양한 중독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美 부모가 3명 ‘맞춤형 아기’ 탄생할까
동아일보
l
2014.02.27
‘부모 3명 아이’ 시술법은 선천성 질환 예방 목적으로 2명의 난자와 1명의 정자를
수정
시켜 3명의 유전자를 지닌 아이를 출산하는 것. ‘미토콘드리아 대체술’로 불리는 이 시술법을 이용하면 유전적 질병이 있는 여성이 다른 건강한 여성의 난자를 이용해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게 된다. ... ...
생물학의 역사를 바꾼 X선 분광기술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투과하며 일어나는 간섭무늬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1913년 다이아몬드, 1925년
수정
의 결정 구조가 밝혀졌다. 이후 점점 해상도가 높아져 1952년에는 DNA가 이중나선 구조라는 사실이 밝혀냄으로써 생물학의 전환점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기도 했다. 2011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