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로 이 음료들 속에 비타민 C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찾기!“비타민 C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예요. 상큼한 감귤과의 과일이나 따뜻한 차, 신선한 채소 등에 많이 들어 있지요.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내가 먹는 음식 속에 비타민 C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알기는 쉽지 않아요. 그런데 ... ...
- [Editor’s Note] 딴소리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쉽게도 지면 사정상 다음 호로 게재가 미뤄졌다. 사회의 아픔을 만져주는 좋은 기사다. 꼭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최 기자는 정기구독자에게 제공하는 ‘5분사이언스’를 맡아 멋진 인포그래픽으로 탄생시켰다. 보면 탄성이 나올 것이다. 변지민 기자 역시 훌륭한 사회성 기사를 완성했으나 다음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그랬다. 굵직굵직한 일들이 국내외에서 터져 나왔다. 꼭 과학 분야에 국한된 일은 아니었다. 사회, 외교, 보건 등 언뜻 과학이나 기술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들이 뉴스를 뒤덮었다.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이 깨닫고 있을 것이다. 세상 그 어느 이슈도 과학이나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알코올을 직접 당기기도 해. 알코올 의존증 환자 85%가 니코틴 의존증을 동반하는 이유지. 꼭 환자가 아니더라도 흡연자라면, 술을 마실 때 평소보다 유독 더 담배 생각이 나는 걸 경험해 봤을 거야. 맞다고? 언니도 알지 않냐고? 아마추어처럼 왜 이러냐고? (입 다물어, 얘.) 어쨌든, 미국 미주리대 의대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양자난수 기술은 정말 예측이 불가능한 난수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면 정보시대에 꼭 필요한 ‘완벽한 보안’을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안심할 수 있도록 귀중한 데이터와 개인 정보를 지켜주는 것은 바로 뭐가 나올지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좋은 카페에서 찍은 사진은 어떨까요? 그때 주변 사람들이 예쁘게 잘 나왔다고 해서 SNS에 꼭 올려야겠다고 다짐했었거든요. 그런데….꺄악! 이 사진에도 문제가 있었어요. 찍을 당시에는 몰랐는데 지금 사진을 보니 제 무릎 위에 눈에 띄는 색깔의 지갑이 놓여 있었습니다. 저것만 없으면 완벽한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자단 친구들은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날아간 기네스북 종이비행기 실험에 도전해 보기로 했어요. 기네스북에 오른 종이비행기는 과연 몇 m나 날았을 ... 더 멀리 날아갈 것 같다고요? 여러분도 세상에서 가장 멀리 나는 종이비행기 만들기에 꼭 한번 도전해보길 바랄게요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목표 자체는 단순한 게임이다. 컴퓨터의 장점, 즉 극대화된 계산 능력이 빛을 발하기에 꼭 맞는 분야다. 그에 비해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는 규칙이 단순하지 않고, 같은 표현이라도 전체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며, 온갖 비유와 역설적인 표현으로 가득 차 있어서 컴퓨터에게는 훨씬 어려운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당찬의 학생들은 5개월 동안 얻은 것이 정말 많다며, 다른 학생들에게도 수학동아리를 꼭 해보라고 권하고 싶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문제를 해결한 성취감을 또 느끼고 싶어서 빨리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싶다고 한다. 올해는 과연 어떤 연구 과제로 뿌듯한 한 해를 보낼까 ...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주며 중력파 검출을 선언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소식을 생중계했고, 전세계 언론은 대서특필했다. 이후 중파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