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을 우주로 보낼 때 꼭 필요한 추진 장치예요. 로켓은 추진체 역할을 하는 ‘1단’과 우주로 올려 보낼 위성이 실리는 ‘상단’으로 구성돼요. 지금까지는 추진체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이를 바다에 버렸어요. 무게를 줄여 우주까지 올라가는 데 필요한 연료의 양을 줄이기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을 앞둔 어느 날, 아주 기쁜 소식이 들려왔어요. 지사탐 대원으로 활동하던 두 팀이 ‘제2회 국립생태원 생태·환경 동아리 탐구발 ... 서로 이야기 하는 시간이 많아질 거예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고 싶다면 2016년에 꼭 지사탐 대원이 돼 보세요~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속녹말이 엿기름 속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거예요. 그뒤 면주머니에 넣고 꼭 짜면 단물이 나오는데, 이걸 3~4시간 정도 졸이면 조청이 된답니다. 이때 면주머니에 넣기 전 삭은 곡물과 단물이 섞여 있는 것이 식혜예요. 조청보다 더 걸쭉하게 졸이면 엿이 되고요.조청은 이처럼 만드는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해 발달한 형태다. 녹을 듯한 애교에 잠시 잊었겠지만, 고양이는 완벽한 육식동물이다. 꼭 기억하라. 당신이 고양이를 키우겠다는 건, (크기가 작은) 육상 포식 동물 한 마리를 집 안에 들인다는 의미다.야생성 : 장난감, 너 부숴버릴 거야학술지 ‘비교심리학’ 2014년 11월호에는 집고양이(domestic cat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丁)자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정자각’이라고도 부릅니다.배례청의 기와지붕을 보면 꼭 산등성이처럼 생겼습니다. 둥근 기와는 원의 일부분인 호를 닮았습니다. 기와가 만드는 선이 직선인 경우도 간혹 보이지만 경기전 안에 있는 지붕을 보면 기와가 만드는 선은 대부분 큰 원의 일부인 호로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새로운 관점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쓸모없는 것 같은 수학도 반드시 쓸 데가 있답니다. 꼭 유학을 가야 하는지는 수리생물학 중에서도 어느 분야를 하고 싶은지에 따라 대답이 달라질 것 같아요.교수님의 새해 목표는 무엇인가요?새해에는 카이스트에서 수리생물학 정식 강좌를 시작하려고 해요.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돼서 조현병 환자가 된 비율이 높았다. 이런 연구결과들이 알려지면서 ‘임산부에게 꼭 필요한 비타민D’라는 공식이 완성됐다. 온라인을 검색해보면 임산부에게 비타민D 영양제를 권하는 글을 수없이 볼 수 있다.아냐, 문제는 햇빛이야!그런데 ‘비타민D’는 정확한 변수가 맞을까. 미국 신시네티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암흑물질이 가져야 하는 조건과 일치했던 것이다. 단 한 번의 신호를 찾아서그런데 왜 꼭 실험실을 땅속 깊은 곳에 만들어야만 했을까. 그이유는 최대한 다른 입자들의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다. 매순간 지구로 들어오는 입자는 그 종류가 수백 가지나 되는데, 지하 깊은 곳까지 들어올 수 있는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실수결론부터 말하자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학의 캠퍼스에 직접 방문해 그곳에 꼭 가고 싶다는 ‘동기부여’가 됐다고 가정해보자. 그 다음은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 대학에 합격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는 이것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실험실을 마련하기도 했어요. 윤관우 기자는 현미경이 너무 좋아서 나중에 커서도 꼭 현미경과 관련 있는 직업을 갖고 싶다고 해요.“처음에는 곤충학자나 식물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지금은 가족이나 주변 사람이 아프면 도와 줄 수 있는 의사가 되고 싶어졌답니다. 그 중에서도 뇌를 연구하는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