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식
d라이브러리
"
방정식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방정식
(이는 고전역학의 뉴턴 운동
방정식
에 비교되는 양자이론의 파동함수 운동
방정식
이다)으로 양화(量化)되고 체계화 됐다.파동함수가 물질파로서의 실체를 갖는다는 드 브로이와 슈뢰딩거의 해석은, 곧바로 막스 보른(Max Born)의 반대에 직면한다. 보른은 1926년 드 브로이-슈뢰딩거 파동함수가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대혁명이 일어난다.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 가모프는 일반상대성이론과 열역학
방정식
을 이용해 우주는 초고온의 한 점에서 대폭발을 일으켜 탄생했다는 빅뱅(Big Bang)이론을 발표했다. 우주 초기의 뜨거운 불덩이에서 모든 원소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빅뱅이론의 아이디어는 매우 혁신적이었으나 ... ...
입자물리학계의 석학 강경식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1860년대 맥스웰은 그때까지 전혀 다른 현상으로 여겨졌던 전기력과 자기력을 하나의
방정식
으로 해석했습니다. 결국 전기와 자기는 서로 바뀔 수 있는 동일한 현상의 다른 표현임이 밝혀진 것이지요. 이로 인해 현대 생활을 지배하고 있는 전기통신혁명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전기현상을 ... ...
수학공부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도 좋을 것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증명하는 방법은 다섯가지 이상이다. 3차
방정식
의 근의 공식을 구해 보는 것도 좋다. 중요한 개념을 발견할 때까지 수학자들이 거친 사색과 시행착오의 과정은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과정을 자기가 재현한다는 생각으로 수학적 ... ...
북경 수학올림피아드 출제문제 및 풀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t)가 모든 x,t∈${Q}^{+}$에 대하여 성립한다.역으로, 모든 x,t∈${Q}^{+}$에 대하여 두개의 함수
방정식
(a) f(xt)=f(x)f(t)(b) f(f(x))=$\frac{1}{x}$을 만족시키는 함수 f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킴을 쉽게 알 수 있다.조건 (a)를 만족시키는 함수 f:${Q}^{+}$→${Q}^{+}$를 우선 소인 ...
북경 IMO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심화학습을 하면 된다.또 해석학 분야에서는 수열(특히 점화공식) 이항정리 함수
방정식
등 미적분학을 제외한 분야와 순열 조합 확률(통계 제외) 등을 철저하게 공부해야 한다. 이외에 삼각함수 삼각부등식 대수부등식 등은 고교과정에서 약간의 심화학습만 거치면 풀 수 있는 문제 들을 다루고 있다 ... ...
정리(定理)속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복무하게 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데 있어서 미분과 적분, 그리고 2차
방정식
의 이론들은 대부분의 경우 쓸모가 없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이런 비실용적인 것들을 배워야 하는가.이 해답은 수학의 내용이 담고 있는 실용적 중요성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수학자체의 구조가 가지고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이동시키는지를 보여주는
방정식
을 고안했다. 1913년 프랑스의 과학자 장 페린은 이
방정식
을 이용해 어느 정도의 크기라야 원자의 움직임이 눈에 관측될 것인지를 계산해 냈다. 직경 2억5천만분의 1인치가 되었을 때 이러한 움직임이 보인다고 설명했다. 결국 원자들이 충돌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 ...
우주의 형성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상태다. 이것이 바로 천문학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난제인 것이다.논문상의 가설이나
방정식
을 갖고 연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 보다 직접적인 시도를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중력만으로 우주를 창조하려고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본다든가 하는 것도 그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계산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다분히 원리적이고 이상적인 말이지만 주어진 뉴턴의
방정식
의 해답을 찾고 그 당시의 조건을(초기조건) 다 고려하면 모든 미래는 알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그러나 양자론이란 새로운 이론체계는 고전적인(뉴턴적인) 세계관을 완전히 깨버렸다. 모든 일이 미리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