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식
d라이브러리
"
방정식
"(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오늘과 내일 제6세대 광컴퓨터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풀어내는 것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공학이나 물리학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방정식
은 날씨를 예측하거나, 부하가 많이 걸리는 교량의 응력분포 모형을 만드는데에서 부터 센서들의 배열로부터 어떠한 입력이 어떤 결과를 내는지를 추론하는 문제들까지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후자의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또는 극(極)초음속 난류, 경계층류의 해석은 수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것이다. 게다가
방정식
의 특징이 비선형이므로 정확한 공기 흐름에 대한 해석은 극히 난해한 분야에 속한다. 그래서 첨단의 슈퍼 컴퓨터로도 완전한 해답을 구하지 못하고 있을 정도다. 아마도 신의 비밀이 최후까지 보존된 자연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파동관수로 기술해 보겠다는 큰 야망을 갖고 있다. 이를테면 창조자인 신의 계획을
방정식
으로 수렴해 보겠다는 엄청난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그는 “우주는 창조되는 것이 아니며 파괴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존재할 뿐이다”고 말하면서 “그렇다면 창조자가 설 땅은 어디일까?”라고 덧붙인다. ... ...
김영길 교수팀 국제학계서 공인받아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편입되게 되었다.KL
방정식
은 지난 45년 미국 ‘홀로몬’박사가 제시한 일반금속 소성변형
방정식
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저온합금과 가공경화 수지가 변하는 합금 등의 변형현상을 큰 오차없이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편 김교수가 개발한 CAM-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9% 니켈강에 비해 동일한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물리적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정지해 있는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
의 '슈바르쯔실트'(Schwarzschild) 해(解)를 그리고 자전하고 있는 것은 '커'(Kerr) 해를 각각 만족하기 때문에 천체물리학자들은 흔히 앞의 것을 슈바르쯔실트 블랙홀, 나중 것을 커 블랙홀이라고 부른다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1학년 때는 기초과목인 물리학통론 역학 수리물리학 등은 물리학과에서, 미적분 미분
방정식
등은 수학과에서 강의를 들었다. 당시 대학교에서는 1년에 한번 밖에 시험을 치르지 않았다. 그래서 그런지 역학 시험문제는 3시간에 3문제 정도를 내주었는데 정말로 그 과목에 힘을 쏟아 공부하지 않으면 ... ...
석유화학 위주에서 첨단기술 분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교수가 미국의 출판사 '프렌티스 홀'을 통해 출판한 단행본의 제목이 '제일차 편미분
방정식
:단일식의 이론과 응용'인 것을 들 수 있다.이와 같이 화학공학의 특성은 자연과학에서의 진보를 수용하고 공정산업의 변화에 부응하여 학문적 탐구와 합리적 문제해결을 시도함으로써 미래사회의 요구를 ... ...
내가쓰는 컴퓨터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리포트에 부착시켜 제출하고 있다. 또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교재에 제시된 미분 적분
방정식
을 풀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답을 확인해보기도 한다. 나는 컴퓨터를 익히고 배우는 뚜렷한 목표가 있다. 그것은 사회에 나가 어느분야 어느곳에 진출하든지 컴퓨터가 주어지면 대형기종이든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1779~1848)는 원자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원자량표를 만드는 한편 원소기호를 창안하여 화학
방정식
을 표기하도록 기초를 다져 놓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의 '멘델레프'(Mendeleef, Dimitri Ivanovich : 1834~1907)는 원소주기율표를 만들어 냈다.이 시기의 두 가지 특기할 사실은 첫째 19세기 후반기에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그러나 공기입자들의 운동
방정식
(equation of motion), 질량보존의 법칙(mass conservation), 상태
방정식
(equation of state)등으로 이루어진 수치예보모형(NWP model)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적분과정을 거쳐 미래상태를 예측하는 객관예보와는 그 접근방식이 근본적으로 틀린다는 것을 알 수 있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