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간"(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사건이 눈앞에 펼쳐진 거야. 확률은 1만 분의 1로 무척 낮아. 그러나 상자를 여는 순간 1만 가지 세계가 생겨나고, 서로 상태가 다른 1만 가지 고양이가 각각의 세계에 한 마리 씩 있다고 볼 수도 있어. n번째 세계에 있는 우리는 스스로 1만 분의 1의 확률로 죽은 고양이를 본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단백질을 수컷 보닛마카크 원숭이 9마리의 혈관에 주입했습니다.사정 이후 정액은 순간적으로 굳었다가, 다시 액체로 변해 질 안으로 들어가는데요. 에핀은 이 같은 정액의 액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입니다. 그런데 에핀을 혈액에 주입하면 에핀을 항원으로 인식해 항체가 만들어집니다. 원숭이 실험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뉴질랜드에서 발사된 최초의 전기모터 우주발사체가 우주를 향해 날아오르는 순간이었다.‘로켓랩’이라는 회사가 개발한 ‘일렉트론’이라는 이름의 이 로켓은 길이가 17m에 불과한 2단 로켓이다. 2013년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의 절반밖에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로켓의 시험발사가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토착 생명체가 드디어 수면 상태로 진입하는 듯 합니다. 황제 폐하.”“마지막 순간까지 방심하지 말라. 이때 잠깐 방심해서 다시 토착 생명체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우리는 다시 처음부터 안정화 작업을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둘은 간곡히 기도하는 마음으로 아기를 들고 걸어 다니며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무의식적으로 손을 들어 턱을 괴거나 다리를 꼬기도 한다. 평소 생각 안 나던 것이 어느 순간 눈을 감고 명상을 하면 갑자기 떠오를 때도 있다. 설 소장은 “그 모든 것이 무의식이 걸어놓은 최면에 따른 것”이라며 “민감한 정도가 다를 뿐, 조건만 맞으면 누구라도 걸릴 수 있는 게 최면”이라고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결입니다. 먼저 퍼즐을 푼 사람만이 자유투를 던질 기회를 얻는 건데요…. 말씀 드리는 순간, 두 명의 선수가 위풍당당하게 입장을 하고 있습니다~!” 어느 때보다 기쁜 마음으로 ‘순시카네 꼬를너’와의 대결에 나선 썰렁홈즈.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농구공을 던질 준비를 하고 있던 그때! 갑자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빙긋 웃으며 말했어요.“비밀! 비행기가 고도를 낮추네. 벌써 다 왔나 봐.”바로 그 순간, 비행기가 앞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졌어요.“아얏! 귀…, 귀가 아파!”그러자 만수르가 당황한 표정으로 말했어요.“다들 괜찮아? 비행기에 문제가 생긴 것 같아!” 비행기를 타면 귀가 먹먹해지거나 귀에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미분방정식이다. 미분방정식은 여러 가지 변수와 미분식으로 이뤄진 수학 방정식으로, 순간 변화량을 측정하는 데 쓰인다.수학으로 만든 전투 모형미분방정식을 이용한 대표적인 수학 전투 모형이 란체스터 법칙이다. 이 전투 모형으로 상대군의 전투력 변화나 전투 중인 병력 수를 계산할 수 있다. ... ...
- [과학뉴스] 기계연, 움직임 자유로운 발목형 로봇 의족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보행 모델을 개발했다. 로봇의족은 이 모델에 따라 보행자의 속도와 지면의 경사도를 순간적으로 측정해 출력하는 힘을 조절한다. 우현수 기계연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지원로봇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 로봇의족을 쓰고 싶어도 너무 비싼 가격 때문에 엄두를 내지 못했던 국내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목표를 향해 똘똘 뭉쳤다”며 “오랜 연구에서 성과를 얻었을 때 느낀 만족감은 그 어떤 순간보다도 크다”고 강조했다. 그의 수행비서 베시 레이턴씨는 31년째 보이틀러 교수의 업무지원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밤낮없이 일하는 보이틀러와 함께 그 역시 박테리아 배양기를 조절하거나 DNA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