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의 폐 부위를 강하게 눌렀어요. 그러자 폐 안의 공기가 압축되며 고기 조각을 위로 밀어냈고, 고기 조각은 튜브 바깥으로 튀어나왔어요. 실험에 참여한 개가 살아난 것은 물론이고요.헨리 하임리히는 이 내용을 정리해 1974년 ‘하임리히 요법’을 발표했어요. 이후 수많은 사람이 하임리히 ... ...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게임의 리얼리티 모드에 비밀이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과, 늘 신중하던 제시가 친구를 위해 다음 모험을 준비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간의 모험을 통해 주인공 제시의 마음이 단단해지고 성장했음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책을 덮으며 이 단순한 어린이 동화가 아니라, 청소년의 마음을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doi: 10.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입자는 대칭적이기 때문에 나노봇이 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자성을 띠는 구형 입자도 체액과 같은 유체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다는 증거다. 하 연구원은 “사람의 활동이 황새의 터전을 만든다”라며 “황새복원을 위한 노력은 사람이 자연과 함께 공생하는 법을 배우는 중요한 훈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알게 됐습니다. 외계행성에 대기가 존재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구나 금성에서 볼 수 있던 특성과 비교하는 과정이 필수적일 겁니다. 외계행성을 수년에 걸쳐 꾸준히 관측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밝히다 멀리 떨어진 ... ...
- [긱블 X 과학동아]소리 뿜어내는 제4의 상태, 플라스마 스피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흥을 주체하지 못한 키쿠 님은 자신을 어떻게 소개했을까요. 낮아진 전자 파트의 위상을 드높이겠다는 패기 넘치는 키쿠 님의 인사를 유튜브 긱블 채널에서 만나보세요 ...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정만아와 남도움이 갖고 싶은 빵 바구니 1순위로 서로 다른 바구니를 고르면 각자 1순위 바구니를 가집니다. 그리고 남은 바구니를 나조아에게 줍니다. 나조아는 자신이 빵을 나눴으므로 어떤 바구니를 가져도 만족할 거예요. 그런데 만약 정만아와 남도움이 가장 갖고 싶은 빵 바구니가 A로 같으면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5개와 1개로 갈렸어요. “하나, 둘, 셋, 넷, 다섯! 꼭짓점은 총 5개예요.” 다른 기자는 위로 뾰족하게 솟은 점을 가리키며 말했어요. “‘각뿔의 꼭짓점’은 모든 옆면이 공통으로 만나는 점이니 1개예요.” 불붙은 ‘각뿔의 꼭짓점’ 논란! 과연 누구의 말이 맞는 걸까요? 김기자의 사건일지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부른답니다. 오늘은 인공위성의 높이와 속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한 번 발사한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해도 다시 수거할 수 없어 우주 쓰레기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답니다! 우주 쓰레기를 청소하는 우주선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46쪽 매스미디어 ‘승리호’기사를 읽어보세요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세울 수 있는 것 같았어요. 많은 수학자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같은 난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지만, 주목을 받는 수학자는 손에 꼽죠. 교수로서 논문을 낼 때도 이런 천재 수학자들이 내놓은 연구 결과의 일부만을 다룰 수밖에 없어서 아쉬웠어요. 그래서 평소 멋있게 느꼈던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