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과학자가 ‘희귀종 블랙홀’ 찾아냈다
2015.11.09
설치된 직경 8m인 쌍둥이
거대
망원경을 통해 블랙홀 때문에 나타나는 ‘퀘이사(Quasar·
거대
발광체)’라는 천체현상을 관측했다고 9일 밝혔다. 블랙홀은 빛까지 흡수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주변 우주먼지 등이 블랙홀로 빠르게 끌려 들어가면서 밝은 빛을 내는 ... ...
환경파괴 없는 경제성장은 가능할까?
2015.11.08
위해선 기술적 해결과 사회 태도의 변화 역시 필요하다고 예상했다. 연구진은 호주 내
거대
발전소의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대체에너지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수자원 사용량이 32~56% 증가할 ... ...
“타고난 리더 없다” 리더십은 훈련의 결과
2015.11.08
발휘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또 인간사회가 더 복잡하고
거대
하기 때문에 인간의 리더십은 동물의 리더십과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정량화 해 인간과 포유동물의 리더십 특성을 명백히 할 계획이다. 스미스 교수는 “앞으로 ... ...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짧아 직접 힉스를 관측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48년 만인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마침내 힉스를 발견했다. 힉스는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기본 입자로 자연계를 구성하는 입자 12개(쿼크 6개, 렙톤 6개)와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힘)을 매개하는 입자 4개와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
2015.11.05
얻은 기술로 우리나라 다수의 산업체가 해외 진출을 하고 있습니다. 또 핵융합 분야 이외
거대
과학 분야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지요. 이처럼 핵융합 개발은 핵융합상용화를 통한 에너지해결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핵융합발전소가 지어질 때쯤에는 ... ...
“와이파이도, GPS도 기초 과학 결과물”
2015.10.21
단장은 한국이 미국 호주와 공동으로 최근 칠레 북쪽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 중인 ‘
거대
마젤란망원경(GMT)’에도 관심을 나타냈다. 그는 “GMT는 향후 천문학 연구에 큰 진전을 낳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학문 간 협업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다이아몬드 단장은 “천문학 연구는 협업하는 ... ...
“힉스 입자 성공 요인은 개방 시스템… 세계 과학자 모여 장벽 없이 연구”
2015.10.20
덧붙였다. 베르톨루치 부소장은 한국과의 공동연구도 언급했다. 그는 “현재 CERN은
거대
강입자가속기(LHC) 업그레이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힉스 발견 이후로는 암흑물질 등 다양한 기초과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한국은 이 과정에서 분석에 필요한 컴퓨터 자원을 제공하는 등 중요한 ... ...
[2015 노벨상 분석]“한국 노벨 과학상은 20년 뒤에나…”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설립하고
거대
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 건설을 결정한 건 불과 4년 전이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일본의 노벨상 사관학교로 불리는 부 연구소인 이화학연구소(RIKEN)를 모델로 삼았다. 염한웅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 ...
[2015 노벨 물리학상] ‘유령입자’ 질량 입증한 과학자 2명 수상
2015.10.06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슈퍼가미오칸데는 지하 1km에 위치한 폐광을 이용해 지은
거대
중성미자 검출 시설이다. 맥도날드 교수는 태양의 핵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성미자가 지구에 날아오는 도중 서로 다른 종류로 바뀐다는 사실을 찾아낸 공로를 인정받았다. 가지타 교수와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유사체인 이버멕틴이 인간기생충약으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미국
거대
제약회사 머크의 CEO 로이 바겔로스. - 화학유산재단 제공 1975년 미국 워싱턴의대 교수에서 머크사 연구담당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바겔로스는 생화학자로 콜레스테롤저하제 메바코를 개발한 실력자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