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단체
협회
모임
클럽
학회
집회
뉴스
"
회
"(으)로 총 7,0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건국대병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2
◇건국대병원 △행정부원장 구당
회
△홍보실장 박상우 △사무부장 권영기 △간호본부장 김보영 ...
유
회
준 KAIST 교수, 70년 역사 美 학
회
논문 최다 발표자 꼽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3.01
설립 70주년을 맞아 개최한 기념식에서 학
회
발전에 기여한 논문발표자를 발표했다. 학
회
에 논문을 60
회
이상 출간한 연구자는 총 5인이 꼽혔는데 이 중 동양인은 유 교수가 유일하다. 시상식은 지난달 2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메리어트 호텔에서 진행됐다. KAIST는 “메모리 산업과 시스템 반도체 ... ...
영재학교 생활기록부에 과학올림피아드 실적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영재학교 두 곳을 신설한다. KAIST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부설 형태로 2027년 개교가 목표다. 영재학교 대 ...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며 “범부처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에 대한 심의·자문 위원
회
로서 미래인재특위의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내구성 3배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평가한 결과 3배 높은 내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리튬메탈 전지는 약 100
회
충방전에 결정 돌기가 생성됐지만 개발한 리튬메탈 전지는 300
회
충방전에도 안정적 성능을 보였다. 이 센터장은 “구리 대비 탄소섬유의 밀도가 5배 낮고 가격도 저렴하다”며 “이번 연구는 내구성이 높은 ... ...
실시간 수자원 측정·감시 기술 개발에 1132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사
회
의 지속가능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총괄위원
회
는 지난해 9월 발표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선 방안’의 추진상황도 점검했다. 7대 추진과제는 단계형사업 평가 합리화, 기술비지정형 사업 활성화, 시행사업 계획변경 허용, 예타기준 ... ...
코로나 확진 4026명…35주만에 최저치
동아사이언스
l
2023.02.27
매일 오전 발표해온 확진자 통계를 지난 26일부터 일요일에는 발표를 하지 않고 주 6
회
발표하기로 했다. 일요일 통계는 다음날인 월요일 공개한다. 이날 공개된 26일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19일 1만274명 대비 1062명 감소했다. 27일 확진자 수는 1주일 전인 지난 20일 4324명보다는 298명 줄었다. ... ...
반도체 소자 속 미세 움직임 찍는 초고속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가령 반도체 산업은 다양한 3차원(3D) 집적
회
로와 소자가 발전하며 더 큰 웨이퍼에 대한 더 높은 분해능과 빠른 측정속도를 가진 계측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100 펨토초(1000조분의 1초)의 펄스폭을 가지는 빛 펄스를 활용했다. 이 ... ...
세계 최초 3D 프린팅 우주로켓 내달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6
블루 오리진과 스페이스X에 일한 팀 엘리스와 조던 눈 공동설립자가 2015년 함께 세운
회
사다. 엔진부터 각종 부품까지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부품 수를 기존 로켓의 100분의 1로 줄이고, 로켓 제작 기간도 60일 이내로 단축했다. 3D 프린터로 만들어 낸 테란 1은 약 1250kg를 지구 저궤도로 쏘아 올릴 수 ... ...
[과학게시판] UST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23일 2020년부터 힘·열정이 넘치는 에너지를 형상화한 캐릭터 파동이가 '제9
회
대한민국 토이어워드'에서 공공콘텐츠 부문 특별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올해는 총 16개 작품·인물에게 수여됐고, 연구원이 받은 특별상은 공공기관 콘텐츠 가운데 가장 우수한 사례에 부여되는 상이다. ■ 고려대 의대는 ... ...
양자컴 걸림돌 '큐비트 오류율' 낮췄다..."획기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밀도를 낮췄다. 그 결과 밀도가 높은 양자 프로세서에서는 2.914%의 오류율을 달성했다. 25
회
이상 연산을 실행시켜 얻은 결과로 밀도가 낮은 양자 프로세서에서 3.028%의 오류율이 발생한 데 비해 낮은 오류율이다. 이승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연산에 사용하는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