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경쟁에 뛰어들려고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본다면, 한국 조선공업이 여기에 머물지 않고 계
속
선진해야 하는 이유를 알 것이다. 조선공업이 국가적 차원에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전략 산업임을 뒤늦게 깨달은 것이다.우리도 더 이상 저임금에 집착해서는 안될것이다. 우리보다 더 싼 임금을 제시할 수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의료보험은 농어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현재도 보험료 거부운동이 계
속
되고 있다. 현행 법대로 도시지역 의료보험이 시행되었을 때 도시지역 주민의 반응은 어떠할지 궁금하다. 두고볼 일이다.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자신이 할수 있는 일, 사회(정부의 복지정책)가 당연히 해 ... ...
확산되는 PC통신① 컴퓨터가 맺어준 친구 「엠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PC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PC로 상대방과 대화를 주고받는 PC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는 PC통신에 관한 내용을 이번호와 다음호 2회에 걸쳐 ... 돼지머리와 막걸리를 차려 놓고 큰절을 올렸다. 첨단기술과 돼지머리…참 기묘한 조화
속
에서 개통식은 그렇게 막을 내렸다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
속
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과학'(small science)의 연구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페르미'연구소의 경우처럼 가
속
기에는 수백명의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참여해 각기 거대연구사업의 작은 한 부분을 맡아 일하고 있다.전체 연구계획을 책임지고 있는 지도학자는 과학을 하기보다는 관리기능과 여러가지 번잡스런 사무처리에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부르는 초음파온열 암치료법이 등장, 주목을 끌고있다.또한 높은 강도의 초음파를 집
속
시켜서 담석 신장결석 등을 파괴시키거나, 눈의 백내장 수술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치과병원에서도 초음파 진동자를가지고 치석제거에 이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요컨대 초음파는 그 유용한 성질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서양의 물질과는 달리 운동을 하는 능력을 그 자체내에 지니고 있었다.그런데 이렇게 기
속
에 운동의 능력이 내재한다는 사실은 중요한 결과를 빚었다. 기가 수많은 작용과 운동을 해서 수많은 현상과 성질들을 만들어내지만 이런 작용과 운동들은 기의 본질적인 성질일뿐, 외부 원인의 작용을 ... ...
컴퓨터인물/전자통신 연구소 오길록박사 중형컴퓨터개발 어떻게 돼 가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설계기술은 순수국내기술만으로 해낼 수 있다고 봅니다. 즉 하드웨어는 반도체분야에
속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외하고는 1백%국산화가 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 중에서 운영체제(OS)는 유닉스를 그대로 씁니다. 단지 20대의 CPU를 한꺼번에 붙이기 때문에 다중처리(Multi-Processing) 작업에 필요한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즐거움은 거대한 해면을 보았다는 것이다. 우리는 해면
속
을 마치 '해먹'에 들어가듯 그
속
에 들어가 사진을 찍기도 했다.가오리나 창꼬치 모두 위험한 존재지만 그들을 알고 잘 다루면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수중세계에서도 상호존중과 신뢰가 안전의 열쇠인것이다 ... ...
속
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근본적으로 대칭적인 것이며 룩손벽의 한쪽에서는 광
속
보다 작은
속
도, 다른 쪽에서는 광
속
보다 빠른
속
도를 상상할 수 없다.다시 말하면 우리가 사는 곳이 룩손벽의 어느쪽이건 간에 그곳은 항상 타아디온우주이고 또 다른 쪽은 언제나 타키온우주일 것이기 때문이다. 즉 양측은 모두 그 자체에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시간(수명을 의미한다)이 걸려야 이러한 평형상태에 달하느냐는 문제는 기본적으로 반응
속
도에 관한 문제다.요컨대 모든 생명체가 한정된 삶을 누릴 수 밖에 없고, 종국에는 죽음이라는 평형상태에 이르게 됨은 엔트로피법칙으로 보았을 때 지극히 당연한 일인 것이다 ... ...
이전
1259
1260
1261
1262
1263
1264
1265
1266
1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