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어 죽은 사람이 되살아난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2001년 겨울 캐나다에서 영하의 날씨에 방치되어 체온이 16℃ 였던 13개월의 아기가 살아나는 일이 있었어요. 2006년 일본에서는 눈 내린 산에서 체온이 22℃, 심장은 멈춘 상태로 발견된 남 ... 로스 박사는 저산소 상태와 저온을 이용해 사람들의 수명을 늘리는 방법을
연구
할 계획이에요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뱅가드’는 이륙 2초 만에 폭발했지. 한국도 두 번의 실패를 밑거름으로 계속
연구
를 하다 보면 목표한 대로 2020년에는 한국의 힘으로 만든 나로 호2를 쏠 수 있을 거야. 그 때까지 우리도 한국 국민들과 함께 응원하자구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파트너는 이제 로봇이다.손정훈 _ 한국생명공학
연구
원 바이오화학-에너지
연구
센터 책임
연구
원생명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맞춤형 유전자 등 의료기술 발전도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것은 ‘에너지’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통해 나무나 볏짚 등이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다양한 변종을
연구
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있다.국내
연구
자들도 대사공학
연구
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이오부탄올을 합성한 KAIST 이상엽 특훈교수가 대표주자다. 이 교수팀은 한우의 반추위로부터 분리한 토종 맨하이미아 균주의 게놈 정보를 바탕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한 숙신산을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
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여객기는 꼬리날개가 없는 델타익(삼각날개) 형태가 될 확률이 높다. 음속의 6배가 넘는 공기저항을 이겨내기 위해서다. 날개를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개발사업단, 장기복제이식기술 개발사업단을 만들어 2004년부터 3단계(1단계 3년, 총 9년)
연구
를 시작했다. 그 결과 2009년에는 국내에서도 원래 있던 알파갈 유전자를 제거하고 사람의 면역계로 형질을 전환한 돼지를 생산했다. 이와 더불어 이종 장기이식 기술을 개발하고 만성 환자를 치료하려는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현대과학과 연관성이 없다”며 “한의학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이유는 인문학적으로
연구
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의학은 과학적인 이론으로 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를 보고 자의적으로만 해석할 뿐 예후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 의사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의사들은 이에 대해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주제도 풍부합니다. 해양과 기상의 상호작용을
연구
하려는 사람에게 기상1호가 훌륭한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겁니다.”민간 선박도 기상 관측 참여해야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4차 보고서에 따르면 위험 기상 증가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수온 상승 등 해양의 변화다. 세계적으로 해양을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나무로 만든 유물들이 어떻게 물속에서 800년 넘게 보존될 수 있었을까. 국립해양문화재
연구
소 수중발굴과 차미영 전문위원은 “서해에는 갯벌이 많아 유물들이 진흙에 묻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식물성 유물이 바다에 가라앉으면 썩거나 물살에 휩쓸리면서 분해된다. 또 바다나무좀 같은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
팀은 두 물질의 특성을 고루 살린 물질을 만들기 위해 벌집 구조를 생각해냈다.
연구
팀은 폴리머와 풀러렌의 경계층에 마이크론 크기의 물방울을 흘렸더니 물방울이 증발한 폴리머만 남아 벌집 모양의 반복적인 패턴이 형성됐다. 리머가 비교적 높은 밀도로 응집해 있는 가장자리는 광자를 ... ...
이전
1259
1260
1261
1262
1263
1264
1265
1266
1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