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피부 세포 한 점을 떼어내 수혈이 가능한 만큼 많은 양의 혈액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캐나다 맥마스터 의대 미키 바티아 교수 연 ... 피를 외부에서 미리 만들어 두고 수술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팀은
연구
결과를 정리해 2012년부터 임상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탕으로 레이저가공을
연구
하기를 원한다”며 “여기에 성실함과 창의성 그리고 자기
연구
분야에 프로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환영한다”고 말했다 ... ...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강도가 적은 대신, 항상 입고 있기 때문에 조절하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필자의
연구
팀은 경계성 고혈압을 앓고 있는 5명을 대상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곰 인형 모양인 옷’을 입도록 했다. 이 옷을 입었다 벗었다 하면서 더위 자극과 추위 자극을 교대로 받도록 지시했다. 4주 동안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할 수 있다. 단, 석사 이상의 학위는 필수적이다.
연구
소는 국가핵융합
연구
소, 원자력
연구
원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 일하다 보면 ITER에 파견근무를 가기도 한다. 플라스마 응용 분야로 나가면 디스플레이 회사나 반도체 회사에서 플라스마를 이용한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님을 자청했다. 또 많은 여성과학자들이 능력보다는 성별에 의해 남성중심 과학
연구
현장에서 차별받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과학의 꿈을 키우는 많은 여성과학도들에게 희망을 버리지 말고 긍정적인 자세로 자신의 꿈을 펼치길 지금도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또한 모혜정 교수가 강조하는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위해서 메탄올이나 수소 등을 전기로 바꾸는 ‘연료전지’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연구
하고 있다.박상덕 단장은 “배터리 문제가 해결된다면 일당백의 슈퍼솔저를 만드는 일도 결코 꿈은 아닐 것”이라며 “적은 인원으로도 충분한 국방력을 갖출 수 있을것”이라고 내다봤다.▼관련기사를 계속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직으로 늘어뜨린 리본을 타고 900m까지 오르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항공우주
연구
원과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가 관심을 갖고 있다.우주엘리베이터라는 개념은 언제부터 나왔을까. 1895년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는 정지궤도까지 치솟아 있는 거대한 탑을 떠올렸다. ‘천상의 ... ...
10대 기술 못지 않은, 미래기술 5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도시의 인구집중 등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농작물을 얻으려는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빌딩농장은 지금도 건설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자동화된 공장형 농장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이 기술이 조금 더 진보한다면 우주농장에서도 식량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전자종이미래사회를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더 세분화한 팔상체질론을 바탕으로 맞춤의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차의과학대 암
연구
소 김성진 소장은 “자신의 ‘네이처(본성)’를 이해해야 몸에 맞는 음식이나 약물을 취해 건강해질 수 있다”며 “한의학의 체질과 현대과학의 개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다”고 말했다. 10여 년 전부터 학계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통섭’이
연구
소 안에서 실현되고 있다는 게 월터 실장의 설명이다. 그는 “새로운 이론이나 아이디어는 다른 학문에 대한 호기심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과거에 관심을 갖는 것, 인문학의 중요성을 깨닫는 ... ...
이전
1260
1261
1262
1263
1264
1265
1266
1267
1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