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있다. 그래핀으로 다시 한번 전성기 맞은 양자홀 상태우리가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모든 물질은 저마다의 상태를 갖는다. 고체와 액체, 기체로 물질의 상태를 나누기도 하며, 같은 고체라도 분자나 원자의 구성과 구조, 물리적 성질에 따라서 보다 다양한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더 깊이 들어가면 ... ...
- [이달의 책] 당신이 선한 것은 본능이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수 있게 돕는다. 심지어 모르는 사람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다./행성 B에서는 모든 사람이 각자도생한다. 공황 상태에 빠지고, 밀치락달치락 아수라장이 된다. 어린이, 노인, 장애인들은 탈출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짓밟힌다. 우리는 어떤 행성에 살고 있을까? 이 질문을 고안한 톰 포스트메스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주파수를 가진 신호의 합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는 음성뿐 아니라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의 특징입니다. 우리의 귀는 이 음성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인식해 말을 이해하지만, 음성 인식 AI가 음성 신호를 이해하려면 특별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 ...
- [수학체험실] 5가지 그림을 찾아라! 거울 퍼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물체의 모습을 최대한 실제에 가깝게 보여준다. 거울의 표면이 편평하고 매끄러워서 모든 빛이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면거울은 물체의 크기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왼쪽과 오른쪽이 거울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며 좌우가 바뀐 모습을 비춰준다.자동차의 룸미러(백미러)는 ...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걸리는 시간은 2주 정도고, 이송하고 설치하는 데는 5일이 걸린다”고 말했어요. 현장에 모든 재료가 준비된 상태에선 병실 1개와 전실* 1개를 조립하는데 15분이면 충분해요. 기존 조립식 병동과 달리 부피와 무게도 70% 이상 줄인 상태로 군수품처럼 보관해뒀다가 감염병이 재유행할 때 설치할 수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런데 여기 SF 속 이야기보다 더 거짓말 같은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에서부터 우리가 사용할 에너지를 뽑아낼 수 있다고 말하는 연구자들이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1969년 블랙홀을 두고 이상한 이론을 제안했다. 블랙홀에서 막대한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한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01이 가장 많은 조건을 만족해 MVP(most valuable planet)로 선정됐습니다. 나이가 약 55억 살이고, K형 주계열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규정. 유럽연합의 법으로써유럽연합에 속해있거나 유럽경제지역에 속해있는 모든 사람들의사생활 보호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규제. #Scene 2 C 고등학교 ‘AI 교육’ 수업 시간 교사 D 오늘 수업에서는 AI 윤리 문제를 살펴볼게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학생 E 최근에 어떤 데이팅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체온을 올리고 수액을 주입한 뒤 이버멕틴과 같은 구충제를 주사하면 회복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감염 초기에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야생동물은 포식자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자신의 약점을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 발견자 중에서는 너구리의 흉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표적이다. doi: 10.1038/nature13302 김 교수는 “유전체 지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들여다보면 유전체 지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수의 목표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국내 임상의사들과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