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떤 부작용이 따를지 검증된 것이 없기 때문이에요. 국립생물자원관 김진한 과장은 “모든 시도는 되돌릴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답니다. 생물의 터전을 되살리자!지난해 10월 15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가톨릭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지도 제작 기술을 이용해 농지나 목초지로 바뀐 자연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흐름에 따르면 가장 단순한 모습으로 변하거든요. 1982년 미국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은 모든 종류의 3차원 다양체를 리치 흐름으로 단순화시켰을 때 8개의 모양이 나온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리고 2002년 그리고리 페렐만이 8개의 모양을 리치 흐름으로 단순화할 때 생기는 특이점을 잘라서 붙이는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런데 여기 SF 속 이야기보다 더 거짓말 같은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에서부터 우리가 사용할 에너지를 뽑아낼 수 있다고 말하는 연구자들이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저 펜로즈는 1969년 블랙홀을 두고 이상한 이론을 제안했다. 블랙홀에서 막대한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추린 뒤, 위에 제시한 까다로운 조건을 모두 통과한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01이 가장 많은 조건을 만족해 MVP(most valuable planet)로 선정됐습니다. 나이가 약 55억 살이고, K형 주계열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또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문제도 있다. 다만 표현의 자유가 다른 모든 사회적 가치를 희생하면서까지 반드시 지켜야 할 절대적 가치는 아니다. 국제적으로 여러 국가가 자국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특정 종류의 혐오 표현에 대해 법적으로 처벌할 근거를 마련하고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체온을 올리고 수액을 주입한 뒤 이버멕틴과 같은 구충제를 주사하면 회복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감염 초기에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야생동물은 포식자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자신의 약점을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 발견자 중에서는 너구리의 흉한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의대 학생이 수의학을 소개하는 기사가 눈에 들어왔다. 인간 중심의 의학과 달리 모든 생명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이라는 구절이나, 우리가 먹는 육류나 유제품도 수의사의 손을 거쳐 안전성을 평가받는다는 내용이 기억에 오래 남았다.나는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거나 실험에 흥미를 느끼는 학생은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하나예요. 삼각뿔을 제외하고는 ‘각뿔의 꼭짓점’ 개수는 모두 1개예요. 삼각뿔은 모든 면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어떤 면을 밑면으로 두는가에 따라 ‘각뿔의 꼭짓점’이 달라져요. 입체도형에서 밑면은 높이를 재는 방향과 수직인 면을 말해요. 삼각뿔은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네 면 모두 밑면이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Bridge.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 도움김하영(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강명주(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이동헌(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 김태수(네오사피엔스 대표), 이재윤((주)프로키언 대표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입력값을 넣으면 출력값이 나온다!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아? 그래, 맞아 함수야. 함수는 x라는 미지수에 값을 넣으면 y라는 결괏값이 정해지잖아. 어떤 식이냐에 따라 나오는 값도 달라지지. 그래서 딥러닝 자체를 함수라고 볼 수 있지. 앞서 설명한 퍼셉트론의 기본 구조 역시 함수야. 1. 함수의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