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례가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인 DNA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사람을 비롯해 모든 생명체는 DNA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특성(표현형)을 나타낸다. 사람은 약 3Gbp(기가베이스페어·염기쌍을 세는 단위. 1Gbp는 염기쌍 10억 개를 의미)의 DNA를 지니고 있다. 디지털 정보로 본다면 약 30억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미 여럿이다. 태양광이 물 위로 간 까닭은 신재생에너지 시설 확대는 이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숙명이다.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은 언제까지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줄일지 협약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하겠다고 전 세계에 약속했다.이후 약속을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합니다. 건축가와 건축사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건축가는 건축 관련 업무를 하는 모든 사람을 지칭합니다.Q3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세상을 독창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합니다. 좋은 건축사는 자신만의 개성을 얼마나 잘 녹여낼 수 있는가로 평가한다고 생각합니다.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도 ... ...
- [진실 혹은 거짓] ‘영’원한 비밀은 없다... 거짓 0의 진실을 찾아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리스의 유명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게 말했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신에 의해 완벽하게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는 존재하지 않아!” 그의 말에 따르면 0의 존재는 곧 신을 모독하는 행위야. 만약 0이 존재한다면, 이는 곧 신이 만든 세상이 완벽하지 ...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다르게 조합하면 64조 개(=40,000×40,000×40,000)의 ‘세 단어 조합’이 나오기 때문이에요. 모든 단어 중에서 욕설과 같은 부적절한 단어는 빼고, 철자가 다르지만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도 제외했어요. 이렇게 주소를 나타내기에 적당한 단어 4만 개를 골랐죠. 그런데 왜 2개나 4개나 아닌 ... ...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지만 이미지 인식 AI를 이용하는 나는 인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봐. 모든 것을 숫자의 나열인 ‘행렬’로 인식하거든. 내가 어떻게 세상을 보는지 지금부터 알려줄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Part1. [특집] 몽골인보다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데이터인데, 1초당 5~60장의 이미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합성곱신경망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계산 방식은 행렬의 형태이기 때문에 초당 수십 장에 이르는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나타낼 수 있고, 복잡한 연산도 빠르게 할 수 있죠.다만, 현재 이미지 인식 AI에는 풀어야 할 문제가 몇 가지 있습니다. ... ...
- [기획] 그래프 그려서 램지 수 찾자!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래프 문제로 바꿔 풀어보겠습니다. 여기서 ‘완전그래프’란 그래프 중에서도 모든 점이 서로 연결된 그래프를 말합니다. 만약 빨간 삼각형 혹은 파란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아무리 노력해도 반드시 같은 색의 선으로 이뤄진 삼각형이 나온다면 R(3,3)은 6보다 작거나 같을 겁니다.한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리사회학 연구의 출발점, 데이터 정형화하기디지털 정보를 포함해 우리 생활 속 거의 모든 데이터는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생성됩니다. 이를 비정형 데이터라고 하는데요. 강 교수님이 연구하는 수리사회학이나 요즘 화제가 되는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낮고, 미국·캐나다와 서유럽 국가들 사이의 표정 보편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 세계 모든 지역이 70% 이상의 보편성을 띠었다. 연구를 이끈 앨런 코웬 UC버클리 심리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표정은 웃음이었다”며 “전 세계 사람들은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