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뜻입니다. 구체적인 예를 구하지 않아도 부분 완전그래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으로 에르되시는 램지 수가 존재할 범위의 최솟값인 하한을 구했습니다 ... ...
- [하비맨] 드론 한 마리 몰고가세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기자가 세상의 모든 취미를 수학으로 리뷰하는 하비(hobby)맨으로 변신했다! 하비맨이 선택한 첫 번째 취미는 바로 드론 날리기. 체감 온도 영하 24°에 육박하는 날씨에 하비맨은 야외로 향했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상황과 마주하는데…. ※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독서’라고 답하는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번의 임무로 완성하는 화성 탐사 임무는 톈원 1호가 처음이다. 중국이 이렇게 한꺼번에 모든 임무를 수행하려고 하는 이유는 화성 주변을 도는 자국 위성이 없기 때문이다. 화성에 무사히 로버를 착륙시킨 뒤 지구와 통신을 하려면 통신 신호를 중계할 위성이 필요하나 현재 중국은 위성이 없어 이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미 여럿이다. 태양광이 물 위로 간 까닭은 신재생에너지 시설 확대는 이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숙명이다.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은 언제까지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줄일지 협약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하겠다고 전 세계에 약속했다.이후 약속을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합니다. 건축가와 건축사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건축가는 건축 관련 업무를 하는 모든 사람을 지칭합니다.Q3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세상을 독창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합니다. 좋은 건축사는 자신만의 개성을 얼마나 잘 녹여낼 수 있는가로 평가한다고 생각합니다.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도 ... ...
- [수학게임X파일] 분수 쪼개기 놀이 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게임으로 수학을 배운다.’ 이보다 혹하는 말이 있을까요? 그런데 실제로 그런 게임이 있다네요. 깐깐하기로 소문난 지 기자가 수학 게임을 낱 ... 가는 줄 모르고 하게 될 만큼 재밌어요. 기자 역시 앉은 자리에서 분수 쪼개기 놀이➊의 모든 단계를 끝냈답니다.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데이터인데, 1초당 5~60장의 이미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합성곱신경망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계산 방식은 행렬의 형태이기 때문에 초당 수십 장에 이르는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나타낼 수 있고, 복잡한 연산도 빠르게 할 수 있죠.다만, 현재 이미지 인식 AI에는 풀어야 할 문제가 몇 가지 있습니다.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기준으로 하는데, 과세 가격은 관세법상 물건을 수입하는 데 실질적으로 지불한 모든 가치를 포함한 비용을 말합니다.우리가 내야 하는 전기요금은 기본 요금과 전력량 요금, 기타 비용을 합한 값으로 산정합니다. 전력량 요금은 크게 기준 연료비와 기후환경 요금, 1년간 평균연료비 변동에 따른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리사회학 연구의 출발점, 데이터 정형화하기디지털 정보를 포함해 우리 생활 속 거의 모든 데이터는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생성됩니다. 이를 비정형 데이터라고 하는데요. 강 교수님이 연구하는 수리사회학이나 요즘 화제가 되는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소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 것입니다, 리만 가설이 등장하기 전부터 소수를 이해하는 건 모든 수학자의 목표이자 꿈이였죠. 타오가 필즈상을 수상할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소수를 연구한 그린-타오 정리 덕분이었습니다. 그린-타오 정리는 ‘임의의 길이의 소수 등차수열은 항상 존재한다’라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