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거예요. 마스크 착용은 어느덧 우리 사회에서 일상이 됐죠. 하지만 마스크 착용이 세계 모든 나라에서 당연한 일은 아니에요. 2020년 6월 29일자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의 분석에 따르면 유럽과 아메리카 국가의 마스크 착용률이 아시아 국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거든요. 아시아 국가의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0과 1로만 이루어진 세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약 300년 전 활동했던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예요. 라이프니츠는 “모든 수는 0과 1로 표현할 수 있어 합리적”이라고 말하기도 했지요.0과 1의 숫자 쓰기 방법은 모스부호와 닮았어요. 모스부호는 미국의 발명가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가 만들어 1844년에 처음 사용한 통신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아주 느린 데이터 전송 모드로 계속 운영할 수도 있었지만 스피처 미션에 관여했던 모든 사람과 논의한 끝에 은퇴를 결정했다”며 “스피처는 처음부터 끝까지 훌륭한 과학(great science)을 해냈으며 스피처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자신의 커리어에 많은 부분을 스피처와 함께 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 ...
- [긱블X과학동아] 마술 마이크스탠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딱 물과 폭죽이 발사될 정도만 당기면 되기 때문에 서보 모터가 안성맞춤입니다.이제 모든 기계 요소가 완성됐으니, 이를 마술처럼 블루투스로 작동시켜줄 전자 파트 담당 민바크 님이 나설 차례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전자 파트는 전문적인 지식(재미없는)으로 가득합니다. 우선 블루투스 모듈로 HC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읽고 교사에게 전달해 교과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줬다. 물리학, 화학, 수학, 공학 등 모든 과학이 재밌어서 아직 구체적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는 김 군은 “미래에 어떤 학문을 공부하든 사람들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연구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공부 스트레스로 탈모 증세를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나타내는 숫자가 없다면 “가장 빠른 동물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모든 동물을 모아놓고 동시에 달리게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설명하는 수, 우리의 삶 곳곳에 숨어있는 수 모두가 바로 최고의 수 아닐까요? _ 인터뷰 “빅데이터는 미래도 ... ...
- 에르되시 팔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진약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다. 진약수란 어떤 자연수의 약수 중 그 수를 제외한 모든 약수다. 여기서 약수는 자연수를 나눠떨어지게 하는 자연수로, 5의 약수는 1과 5, 6의 약수는 1과 2, 3, 6이다. 4는 9의 진약수 1과 3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어 불가촉 수가 아니다. 난 불가촉 수가 무한하다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도전! 10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뒤집은 카드의 숫자와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숫자의 카드를 먼저 내는 사람이 뒤집힌 모든 카드를 획득합니다. 즉, J, A, 2~10 카드 중 하나를 내려놔 10을 만듭니다.➌ K와 Q 카드는 2장의 카드와 함께 낼 수 있어요. 예시 뒤집은 카드가 2일 때, 3·K·5 카드를 동시에 내면 2+3+5=10이므로 성공! ➍ 뒤집은 ... ...
- [특집] 추천 AI에 벡터가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다지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박상준 개발자의 말처럼 AI에 입력되는 모든 정보는 벡터로 나타냅니다. 벡터는 수를 나열한 것이면서 동시에 벡터 공간의 점을 나타내는 좌표이기도 합니다. 정보를 벡터로 나타낸다는 것은 우리가 눈으로 보는 사물이나 소리 같은 정보를 세분화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00만 달러 상금이 걸린 수학계 대표적인 난제 ‘리만 가설’을 풀기 위해선 지구에 있는 모든 커피콩을 갈아도 부족할지 모른다’라는 말도 있는 걸 보면 수학자와 커피는 정말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인가 봅니다. 어느 수학자의 다짐 20세기 영국의 저명한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는 192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