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가져다 줄 미래상 또한 마찬가지다. 2002년 5월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던 계획표는
수정
이 불가피하다. 정부의 IMT2000 정책은 잦은 말바꿈과 실기(失期)의 와중에서 점차 왜곡돼간다는 비판도 나온다. IMT2000의 경제적 효과도 예상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종종 고개를 쳐든다.IMT2000 ... ...
세계는 지금 구제역 비상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 있다.또한 구제역에 걸린 가축을 도살해서 만든 사료를 섭취하거나 가축을 인공
수정
하는 과정에서 정자를 기증한 수컷이 구제역에 걸렸을 경우 정자를 수용한 암컷도 구제역에 감염될 수 있다.구제역 바이러스의 평균 잠복기는 3-8일 정도. 발병하면 가축의 입과 발굽 주위에 물집이 생기면서 ... ...
중·고생 마라톤 풀코스 완주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자세를 설명하기 전에 자신의 달리기 자세는 어떠한가를 먼저 생각해보고 하나하나
수정
해주기 바란다.빨리 달리겠다는 생각이 앞설수록 윗몸이 앞으로 기운다. 그리고 주먹을 불끈 쥐고 어깨를 앞뒤로 흔든다. 모두 잘못된 자세다. 윗몸은 5°이상 앞으로 기울여서는 안된다. 즉 온몸이 똑바로 선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조절하기 위한 노출계는 눈의 홍채에, 영상의 배율과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는
수정
체에, 영상을 읽어들이는 필름은 망막에 해당한다.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카메라 중에 CCD카메라라는 것이 있다. 여기서 CCD라는 것이 바로 이 카메라에서 영상을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된 소자다. CCD 이외에 영상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아닌 겹눈이다. 겹눈은 홑눈이 수천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눈이다. 개개의 홑눈은 각막과
수정
체에서 망막세포까지 모두 갖추고 있다. 그러나 그 시력은 지독히 근시다. 결국 곤충이 겹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모자이크 같이 엉성한 세상이다.곤충의 눈이 물체의 모양을 감지하는데 서투르다고 해도,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서류를 뒤적일 때처럼 많은 시간을 낭비할 필요도 없고, 필요한 부분만 부분적으로
수정
하거나 편집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수백-수천권 분량의 책이나 수만건의 문서에 저장된 정보를 불과 몇인치 크기의 저장장치 안에 모두 담을 수 있게 돼 정보 관리와 활용이 훨씬 편리해졌다.한마디로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통해 조절되는 생명체의 특성을, 6장 발생에서는 세포끼리 서로 긴밀한 공동체를 이루며,
수정
란이 태아로 변모하는 생명의 발생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7장 진화에서는 생명체가 오랜 세월 동안 어떻게 변하고 적응해가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
에어울프 현실화될 날 멀지 않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하워드뉴스(www.shns.com)는 지난해 12월 20일 비행기와 헬리콥터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비행체가 개발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비행기는 빠르지만 활주로가 없으면 이용하 ... 11월 자이로플레인은 수직이륙에 성공했다. 현재 시험비행을 계속하면서 이론적인 단점을 조금씩
수정
해가고 있다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미르는 또한 단일우주선으로서 최대의 실험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실험은 고순도
수정
등의 신재료 제조와 신의약품 제조를 비롯한 기초의학 연구, 오존층 감시를 포함한 지구 자원 및 대기층 탐사 등 2만여가지나 된다.특히 사상 최초로 우주공간에서 밀재배에 성공하고 우주에서 파종해서 키운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실험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해
수정
란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복제는 대량생산을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