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추출한 세포의 핵을 미리 핵을 제거해둔 소의 난자에 전기충격으로 결합시키고, 이 복제
수정
란을 암호랑이나 암사자의 자궁에 이식하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황교수의 연구는 이미 1998년 위스콘신대학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도된 바 있다. 이들은 원숭이, 쥐, 돼지 귀에서 추출한 세포핵을 소 난자에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얻은 속도로 관성비행을 한다. 관성비행은 약 40년간 계속된다. 그사이 필요에 따라 궤도
수정
을 하며 관측활동이 계속된다. 이 동안 다이달로스에 이상이 발생(우주먼지와 충돌해 외부구조물이 파손되는 등)하면 앞부분에 탑재한 감시 로봇이 발진해 고장 부분을 발견, 기계팔을 사용해 수리한다.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속에서 그 무엇인가를 잡아낼 수 있어야 한다.예를 들어 인공시험관에서 만든 송아지의
수정
란을 복제하려고 할때 이미 알려진 메커니즘에 따라 체세포를 복제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아무리 반복해도 되지 않았지만 핵을 이식하는 위치를 변경시키자 행운의 여신이 미소를 지었다.또 난자에서 ... ...
완성의 미 추구하는 컴퓨터 의사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덕분에 어느덧 안박사는 컴퓨터세계의 전문가 반열에 올랐다.이때 그의 인생 궤도를
수정
시키는 일대 사건이 발생했다. 1988년 파키스탄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제작된 ‘브레인’이라는 컴퓨터 바이러스가 공교롭게도 그의 디스켓에 침입한 것이다. 애써 모아둔 자료가 모두 날아간 것은 말할 필요도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수정
처럼 투명한 구에 천체들이 박혀 있다고 생각하던 시대에 천체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될까하는 문제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거리이자 고민되는 문제였다. 그리스인들이 피타고라스 정리, 즉 직각삼각형의 기하학을 고안하기 전까지는 그 수수께끼를 풀 엄두를 내지 못했다.반달을 이용한 거리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repre-sentation theory)으로 크게 발전했다.현재군이론은 통신을 할 때 잡음이 들어가는 것을
수정
하는 방법(error correcting code)에,또는 일부러 잡음을 넣어 보안에 신경을 쓰고자 할 때도 쓰인다.20세기 수학자들은 '유한군론과 리군(Lie group)론'을 통해 자연과 사회 및 인간의 마음에 존재하는 모든 대칭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발달한 유럽에서 중동아시아로 이주했으리라고 짐작된다.스쿨과 타분 유적의 연대도
수정
됐다. 슬기사람이 이곳에서 10만년-12만년 전에 살았다는 점이 밝혀진 것이다. 그렇다면 슬기사람은 네안데르탈사람과 같은 시기에 살았다는 설명이 가능하다.이스라엘 유적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은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L군은 다급해진 마음에 치료방법을 질문했다.의사: 먼저 나쁜 습관을 없애는 행동
수정
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문제가 무엇이고 어떤 습관이 나쁜 영향을 주는지 환자 스스로 깨닫게 하는 일입니다. 이때 일단 통증을 없애기 위해 진통소염제를 투여합니다.초기 상태에서는 이처럼 단순히 약만 먹어도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식할 경우 필요한 종류의 뉴런을 모두 만들어낸다고 밝혔다. 스나이더 박사는 생쥐
수정
란에 유전자조작을 가해 신경교세포의 일종(희돌기교세포)을 생산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생후 2-3주에 이르면 몸을 많이 떠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스나이더 박사는 이 생쥐에서 태어난 새끼들에게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실험 결과를 분석하던 중에 이론적인 이유를 밝히지는 못했지만, 자신의 생각을 조금씩
수정
해가면서 점진적으로 6중 대칭축을 가진 정육각형 구조를 떠올리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케굴레가 버스를 타고 가다 갑자기 고리모양에 대한 영감이 떠올랐다고도 하고, 벽난로 옆에서 낮잠을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