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슷하다. 즉 면역체계가 인지하기가 어렵다. 또 암세포가 워낙 다양해서 항원 역시 종류가 많기 때문에 모든 항원을 공격대상으로 인지하고 일일이 반응하기 쉽지만은 않다. 면역체계가 인식을 한다고 해도 암은 스스로 특정 단백질을 발현하거나 신호 전달 물질인 사이토카인 등을 분출하며,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빠르다. 발효종을 넣은 반죽은 발효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 그 대신 발효 미생물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맛과 향기가 더욱 다양해진다. 특히 유산균이 젖산을 만들기 때문에 생이스트를 넣은 반죽보다 시큼한 맛이 난다.한편 베이킹파우더와 베이킹소다 같은 화학팽창제는 반죽을 발효시키지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쪽에는 침대가, 또 다른 쪽에는 컴퓨터 화면이 있었다. 여기서 체형에 맞는 매트리스의 종류(단단함에 따른)를 추천해준다. 매트리스의 단단하고 무른 정도는 숙면에 큰 영향을 미친다.박 과장은 일단 체압(몸이 누르는 압력)을 측정하자며 침대로 안내했다. 평범한 침대처럼 보였으나, 눕자마자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했다. 암의 크기가 작고 초기 단계일수록 덩어리 안에 클론의 종류가 적고, 이러한 경우 항암 치료가 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3파트 참조). 보겔스타인 박사와 같은 암유전학 대가의 말 한 마디는 2~3년 뒤의 연구 트렌드를 완전히 바꿀 수 있다. 그간 수십만 개 클론의 암세포에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멘투호테프 2세의 무덤을 발굴하던 중, 약 4000년 된 빵의 화석도 발견됐다. 당시 빵의 종류는 40가지가 훨씬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대 이집트의 빵 맛은 과연 어땠을까. 서진호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현대의 빵보다 신맛이 강한 빵이었을 것”이라며 그 근거로 “당시에는 반죽을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평균값 변화] = [선택에 의한 변화] + [전달에 의한 변화]가 된다.프라이스 방정식은 모든 종류의 자연 선택을 깔끔하게 설명한다. 단수체건 이배체건, 유성 생식이건 무성 생식이건, 짝짓기가 무작위적이건 비무작위적이건, 우성이건 열성이건 간에 가리지 않는다. 이 모든 상황에서 어떤 형질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드론부터 사람이 타서 전쟁과 자연재해 현장에 출동할 수 있는 거대 드론까지 수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지요.기자단 친구들은 직접 조립을 하는 것은 물론, 색칠해서 내 맘대로 꾸밀 수 있는 드론을 만들었어요. 드론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하면, 조종기가 없어도 조종할 수 있답니다. 비법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충돌하는 진동자에 연결해서 앞뒤로 흔들며 실험한 결과, 걷는 동안 작용하는 두 종류의 힘이 매듭을 풀어지게 만드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다이아몬드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작용하는 힘과 끈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다른)새로운 물리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예를들어 힉스가 가볍지 않다거나, 여러 종류가 있다거나. 아직 가능성이 열려있다.Q 입자물리학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초대칭성을 찾으려 했지만 발견하지 못했다던데, 설명해 달라버틀러: 초대칭성은 힉스 입자의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가설 중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존하기 위해 국립공원을 지 정하기도 했지요. 이후부터 2012년 당시까지는 동물을 종류별로 가둬놓는 방식이 일반화됐습니다. 그는 2012년 이후부터 2050년까지는 동물원의 구조 를 바꾸거나 가상현실, 로봇 등 기술을 이용해 실제 동 물을 괴롭히지 않는 방식을 생각했습니다. 사자나 호랑 이 같은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