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d라이브러리
"
지상
"(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 첫번째 조립작업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연결통로를 통해 자랴로 이동함으로써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번째 방문객이 됐다. 이들은
지상
에서 우주정거장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통신장비를 설치했다. 이로써 국제우주정거장 첫 번째 건설은 무사히 끝났다.앞으로 국제우주정거장은 2004년까지 45차례에 걸친 우주선의 발사로 4백60t에 달하는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바뀌고 무중력 상태인 우주와, 24시간마다 하루가 지나고 중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상
에서 동 시에 개일리듬실험을 실시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동일했다. 즉 붉은빵곰팡이의 개일리듬은 내부의 생체시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또 한번 증명된 셈이다.노화를 막고 면역력을 키워준다 해서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쇠고기와 달리 생선 살은 대부분 희고 부드러울까. 부드러운 이유부터 살펴보자. 첫째로
지상
을 달리거나 날갯짓 을 해야하는 동물들과 달리 물 속을 헤엄치는 어류에게는 그다지 튼튼한 근육질의 몸이 필 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물고기들은 코끼리나 독수리처럼 근육이 발달해 있지 않다.둘째는 ... ...
화려함 뒤에 숨겨진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죽은 이탈리아 북부의 큰 강으로 알려져 있다. 파에톤은 아버지의 두 바퀴 태양마차를
지상
에 너무 가까이 몰아 아프리카대륙에 사하라사막을 만들고, 사람들을 흑인으로 만들었다. 이에 다른 신들의 항의로 번개에 맞아 에리다누스강에 떨어져 죽는다. 아폴론은 아들이 빠진 강을 하늘로 ... ...
지구에 사는 세균은 몇마리?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어려울 정도로 다채로운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일반적인 생물이 생존하기 어려운
지상
60km나 해저 10km 지점에서 사는 종도 있다.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균은 지표 아래와 토양, 그리고 바다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다. 특히 지표 아래에 90% 이상이 존재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27km로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하지만 모두 지하 깊숙이 묻혀있기 때문에
지상
에서는 어느 곳을 가속기 터널이 지나고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CERN에서 새로 추진중인 거대강입자충돌가속기는 현재 운영중인 가속기 설비를 완전히 들어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설비로 건설된다.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역학은 질량이 있는 물체에 왜 중력이 작용하는지는 설명할 수 없었지만 천체와
지상
의 운동을 명확히 설명함으로써 절대적 진리의 자리를 점하고 있었다. 그 한 예가 뉴턴 역학에 기초한 예측과 정밀한 관측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 해왕성과 명왕성의 발견이다. 그러나 뉴턴 역학의 한계가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페르미연구소는 다섯번째 쿼크인 바틈쿼크를 발견함으로써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지상
최대의 양성자 가속기인 테바트론은 1979년 1억2천만달러를 들여 만들었다. 테바트론은 양성자(반양성자)를 9천억eV까지 가속시킬 수 있는데, 만약 양성자와 반양성자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가속해 충돌시키면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웃나무와 간격이 넓어졌기에 더 많은 물과 영양분을 뿌리로부터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지상
부인 줄기와 가지의 생장이 촉진됨은 물론이고 지하부인 뿌리의 생장도 왕성해져서 더 많은 잔뿌리들이 자라게 된다. 뿌리 발달이 촉진되면 흙 알갱이를 붙잡는 힘(토양견지력)은 더욱 세어지게 마련이다.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속도는 10 -70km/초의 엄청난 속도다. 유성은
지상
1백30km 지역에서 빛을 발하기 시작해
지상
80km 근처에서 다 타 없어진다. 만약 유성체의 크기가 탁구공 정도로 크다면 사람의 그림자가 보일 정도로 밤하늘이 밝아지는 아주 밝은 유성(화구)이 된다. 또 축구공보다 큰 유성체가 대기권에 진입하면 타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