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뉴스
"
순간
"(으)로 총 2,9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중에서 얼어붙은 물고기
팝뉴스
l
2019.01.11
갇혀 있을 나머지는 공중에 떠 있는 것이다. 물고기가 물 밖으로 점프를 했는데 그
순간
빛의 속도로 호수 표면과 물고기 몸이 얼어붙어야 이런 결과가 가능하다. 자연에서는 그런 초자연적이고 이상한 일이 정말 벌어지는 것일까. 사진은 해외 네티즌들의 궁금증을 자아내면서 큰 화제를 낳고 ... ...
뇌는 왜 '작심삼일'에 더 익숙할까
과학동아
l
2019.01.08
시작하거나, 일찍 일어나거나, 게임 시간을 줄이거나, 담배를 끊겠다고 결심한다. 이
순간
에도 많은 사람들이 2019년을 맞아 새해 계획을 세우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새해 계획은 ‘작심삼일’이라고 했던가. 며칠 지나지 않아 굳은 의지는 차츰 희미해지고 결국 폐기처분되고 만다. 그런데 이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수 있었던 건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발견해 1934년 노벨화학상을 받으며 최고의
순간
을 경험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22세 대학원생이 ‘2018년 화제의 인물’로 뽑혀 학술지 ‘네이처’는 한 해의 마지막호에 ‘화제의 인물 10’을 선정해 발표하는데, 2018년 10명 가운데 첫 번째 인물은 ... ...
파도 조건 상관없이 24시간 파력발전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이용하는 원통형 실린더와 직선운동을 하는 스윙판 중 변하는 해양환경에 따라 매
순간
발전효율이 높은 방식을 택해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장치다. 박 연구원은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전기, 가솔린 중 선택적으로 동력원을 사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설명했다. 자료: ... ...
이야기 전개와 결말을 내 맘대로…넷플릭스의 실험
연합뉴스
l
2019.01.07
영화의 결말이 맘에 들지 않아 화면으로 들어가 주인공의 선택에 개입하고 싶은
순간
이 있다. 최근 세계 최대 OTT(실시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체 넷플릭스가 선보인 시청자 참여형 영화 '블랙미러:밴더스내치'는 이 상상을 현실화했다. 이 영화는 넷플릭스가 플랫폼으로서의 특성을 백분 ... ...
[주말N수학] '돼지 게임' 전략 확률로 짠다
수학동아
l
2019.01.05
엄청 쉽고 간단합니다. 다만 1이 나오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주사위 눈이 1이 나오는
순간
여러분은 세상이 무너져버리는 기분이 들 겁니다. 순서가 바로 상대에게 넘어갈 뿐 아니라 본인이 이제껏 쌓아 놓았던 모든 점수가 사라져 버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너무하지만 그게 이 게임의 ... ...
[뉴스룸]이제 중국 과학이 ‘초일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몇 명이라고 하셨죠?” “1000명입니다.” 중국의 인해전술식 기술 투자를 실감한
순간
이었다. ‘기술 굴기’라는 말이 수년째 유행할 정도로 중국 기술의 부상은 익숙하다. 신년 초부터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뒷면 무인착륙 임무를 성공시켰고, 세계 최대 입자가속기를 짓고 있다. 그럼에도 ... ...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 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추정했다. -사진 제공 NASA NASA 연구팀은 현재의 모습이 45억 년 전 태양계 탄생 초기의
순간
을 마치 냉동 보존한 듯 담고 있다고 보고 있다. 45억 년 전 태양계가 태어날 때 행성이 되지 못하고 남은 암석과 얼음 부스러기들은 서로 충돌을 거듭하며 10km가 넘는 소행성으로 자랐다. 이들 중 두 개가 ... ...
머리 하나에 몸은 둘 강아지?
팝뉴스
l
2018.12.28
절묘한
순간
포착 사진이다. 두 마리의 개가 놀고 있는 걸 촬영했는데 얼굴이 겹친
순간
이 포착된 것이다. 사진 속 견공들은 ‘괴물 강아지’가 아니라 즐겁게 노는 평범한 강아지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1000조분의 1초’ 빛으로 ‘왼손잡이 분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1000초 분의 1초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겨우 0.0003mm 이동하는 찰나의
순간
이다. 펨토초 레이저는 약 10~50 펨토초 단위로 켜졌다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는 장치로, 이를 이용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찰나의 과정도 마치 동영상처럼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합성 때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