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06
메모리(F램, Ferroelectricity)작동원리 : 강유전체의 분극 특성을 이요해 데이터를 저장.
분자
가 전류와 반대방향의 극성을 띠면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고(a), 같은 방향이면 저항이 작아 전류가 잘 흐른다(b).장점 : 비휘발성. 전력소모 적음. 상대적으로 비용 저렴.단점 : 집적도 높이기 힘듦.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5
운동신경세포와 감각신경세포를 연결시켜 시냅스를 만들어 학습과 기억이 일어날 때
분자
수준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을 밝혀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칸델 교수는 200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군소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행동모델은 충격에 의한 민감화다. 여러 번 충격을 받은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05
해롭다는 것이다. T선보다 에너지가 높아서 X선 촬영을 할 경우 방사선이 인체 내의
분자
나 원자에 강한 충격을 준다. 최근 발표된 자료를 보면 X선 검사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양이 인체에 결코 안전한 수준이 아니라고 한다. 그래서 의사들은 X선을 많이 사용하는 검사의 경우 그 횟수를 제한하고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05
심지어 8자 모양으로 꼬여 있는 구조라는 것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그에게는 단백질
분자
가 서로 결합해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하학적으로 ‘어떻게’ 결합해있는지가 중요하다. ‘어떻게’가 ‘왜’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3차원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05
부피라고 할 수 있고 그 부피는 보일의 법칙을 따른다고 주장했다.하지만 기체의 부피가
분자
의 부피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면 여전히 보일의 법칙은 압력과 기체의 부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보일은1627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로버트 보일은 14명이나 되는 대가족의 막내였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물에 미량의 유기
분자
(테트라하이드로퓨란)를 첨가한 뒤 물을 냉각했다. 이때 얼음이 만들어지면서 내부에 형성된 나노 크기의 공간에 수소가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현상을 발견했다.이 교수는 “저장된 수소의 무게는 얼음 전체의 4%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04
효율이 광합성의 10분의 1에 그친 정도다. 기술적으로 3차원 공간 배열이 어렵고,
분자
배열시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양전지가 개발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빛 알갱이 하나를 받아 전자를 하나 배출하는 그야말로 100%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명명된 이 유전자는 세곳에서 염기의 종류가 바뀔 수 있는데 그 결과 다섯가지의 수용체
분자
가 만들어진다. 특이하게도 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쓴맛에 가장 민감한 PAV 타입과 가장 둔감한 AVI 타입만 존재한다. 아시아인의 경우 PAV 유전자가 58%, AVI 유전자가 42%다. 김 교수는 “AVI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04
원자나
분자
하나 당 얻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든다. 또 물
분자
처럼 여러 원자가 결합된
분자
는 회전과 진동으로 에너지를 소모한다. 연구팀은 황산과 불활성 기체의 조합을 찾아냄으로써 음파에너지를 소량의 불활성 기체로 집중해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데 성공했다. 초음파로 지름이 약 50㎛까지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03
나타나는 표현형도 매우 다양하다.이와 같은 장점들 덕분에 애기장대는 1985년부터 식물
분자
유전학 연구의 모델 식물로 국제적으로 공인받았다. 단 애기장대로부터는 피토크롬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연구팀은 귀리도 함께 이용했다. 귀리에서는 피토크롬을 분리하기가 비교적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