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가진 점들을 연결한 곡선인 등광도선이 있다. 편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B의 이미지 밝기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A와 B의 경계에서부터 등광도선을 따라 안쪽으로 점점 이미지를 채워나갈 수 있다. 명화 속 암호를 찾아라! 스테가노그래피‘스테가노그래피’란 전달하려는 ...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용도로 쓰는 것도 중요하다. 왜 이 도구를 사용하는가, 어떻게 사용해야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을까, 특정한 물리량을 재기 위해서는 어떤 도구가 필요한가 등을 생각해보고 정확한 순서와 사용법에 맞춰서 실험 도구를 다루는 연습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항상 기본기가 중요하기 ... ...
- Part 1. 튜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아니라 0이나 음수라면 영원히 X가 1씩 줄면서 돌아가고요. 이 경우에는 X의 처음 값에 따라 정지할지 안 할지 알 수 있어요. 이처럼 언젠가 멈출지 영원히 계속될지 알아내는 게 정지 문제입니다.기자 저기, 그런데 컴퓨터 얘기는….튜링 이제 나옵니다. 저는 그 논문에서 ‘자동 기계’라는 개념을 ... ...
-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다시 나누면 하루 동안 사고로 목숨을 잃을 확률이 약 100만 분의 1, 즉 1마이크로몰트라는 값이 나온다. 이 확률은 동전 스무 개를 던져서 모두가 뒷면이 나올 확률과 거의 같다. 우리나라에서 불행히도 하루 평균 이 ‘죽음의 복권’을 뽑는 사람의 수는 약 49명이다.죽음의 확률은 국가에 따라 크게 ...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거의 이긴 적 없는 한반도 팀의 승률(p)은 고작 1/10정도였다. 그렇기 때문에 한반도 팀의 s값은 1/10-1/2=1/10-5/10로 -4/10였다.20:19, 승리까지 딱 1점(n)을 남겨 두던 상황에서 한반도 팀의 승리 확률은 얼마였을까?수학으로 배우는 탁구 비법 4“파이팅!”분희 언니 이야기 잘 들었어. 생각보다 수학자들이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제곱한 수와 같아지는 경우는 11, 12(21), 13(31), 22뿐이다. 이 중 13은 제곱한 숫자의 각 자릿값이 모두 다른 유일한 수다.*11의 배수 판정법 홀수 자리 수의 합과 짝수 자리 수의 합의 차가 0 또는 11의 배수면 그 수는 11의 배수고, 그렇지 않으면 11의 배수가 아니다. 2011년 11월호 ‘숫자 이야기’ 참고.제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떠나보자. [파멜라 위성의 이상한 관측결과 - 1.5~100GeV의 에너지 범위에서 양전자가 이론값보다 월등히 많이 검출됐다. 양전자를 만든 용의자로 ‘암흑광자’가 지목됐다.]2006년 6월 파멜라 위성은 우주에서 신기한 현상을 발견했다.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견된 것이다. ... ...
- 세계의 지하철 구조, 수학적으로 서로 비슷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가지 수학적인 관계식을 찾을 수 있었다. 역을 잇는 선의 개수는 대략 역 개수의 제곱근 값과 비슷했다. 또 핵 안에 있는 역의 2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역과 연결돼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연구팀은 “서로 다른 많은 지하철 노선도가 수학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띠고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됐다”며, ... ...
- 피망vs파프리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관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고유 품종이 없어서 종자를 비싼 값에 수입해야 해요. 그래서 피망보다 비싸답니다. 파프리카는 둥그스름하며 노랑, 주황, 보라, 아이보리 등 12가지 다양한 색을 띠어요. 열매 껍질이 두껍고 단맛이 많이 나죠. 그래서 주로 샐러드처럼 익히지 않고 ...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2년 05호
- 크기가 결정된다.예를 들어 백설공주의 시선의 각도가 45°라고 가정하자. 이 때 tan45°의 값은 1이다. 왼쪽 그림과 같이 시선의 연장선으로 그려지는 직각삼각형을 살펴보면, 거울에서 키의 절반 만큼 떨어져 있을 때 키의 절반만 한 거울로도 전신 확인이 가능하다.둘, 고정된 평면거울 앞에서 물체가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