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양을 계산한 뒤 이들이 우주공간에서 무작위적으로 배열될 경우의 수를 찾으면 된다. 그 값은 자그마치 10을 10122번 제곱한 수다. 이론적으로 우리 우주 안에는 이만큼의 데이터(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우주는 곧 데이터다.이제 아득한 데이터유니버스의 끝이 보이는 것 같다. 하지만 마지막의 ...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천연 다이아몬드가 진짜 다이아몬드라는 인식이 퍼졌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왜 비싼 값을 주고 다이아몬드를 구매하겠는가. 희소성과 희귀성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인공 다이아몬드는 전혀 매력적이지 못했다.결국 GE는 독점적 특허였던 인공 다이아몬드 제조법을 공개하기로 결심한다. 그런데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타깃, 약물과 타깃, 약물과 질병 등 모두 3억 8905만 1044개의 링크가 나온다. 모든 링크 값을 계산하고 저장하려면 최신 컴퓨터를 이용하더라도 하루가 넘게 걸린다. 더구나 100회 이상 반복해야 하니 데이터량은 상상을 초월한다. 네트워크 의약학은 다른 용도로도 활용된다. 많은 양을 쓸 때 나타나는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처하게 된다. 2003년 미국과 포르투갈, 그리고 영국의 물리학자 3명이 α가 위치에 따라 값이 변한다면 로렌츠 대칭성이 깨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로렌츠 대칭성은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세우는데 적용한 황금률이었다. 로렌츠 대칭성으로 우주의 어느 방향에서든 물리학 법칙이 ...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여러 공식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안전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이처럼 π 값을 계산하는 일은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지요.”책과 칠판만 있으면 되는 곳, 고등과학원슈퍼컴퓨터를 본 후, 고등과학원 내부를 계속 둘러보던 중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고등과학원은 분명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구분해야 한다. 이 둘은 밀도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밀도는 부피를 질량으로 나눈 값인데, 행성의 부피는 별빛가림 현상으로 줄어든 빛의 양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별빛가림 방식만으로는 행성의 질량을 알 수 없다. 따라서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된 후보별은 여러 가지 관측을 통해 별 ... ...
- 수학 - 삼각함수의 활용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삼각법의 발달은 측량기술의 발달과 역사를 같이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인값을 0.5도 간격으로 구해 측량에 썼다. 흔히 보는 건축물을 지을 때 출발점이 바로 삼각법이다. 또한 근대수학이 발전하면서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주기적 현상들을 삼각함수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게 됐다. ...
- 숫자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2년 03호
- Q 다음 규칙에 따라 1~4까지의 자연수로 블록을 채워 보세요. 1)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같은 수가 나와서는 안 됩니다. 2) 4개의 작은 블록(점선으로 표시)을 감싸고 있는 굵은 선 안의 숫자 ... 있는 굵은 선 안의 숫자는 굵은 선 안에 있는 5개의 작은 블록에 있는 숫자를 모두 더한 값입니다 ... ...
- 스펀지 MATH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약 3.1605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값과는 조금 다르죠? 당시 계산했던 결과는 대부분 근삿값이니까요.바퀴 속 작은 원은 무한히 □한다!후~. 첫 번째 문제부터 만만치 않군요. 바로 다음 문제 만나 보죠. 바퀴는 오래 전부터 수학자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습니다. 이번 문제 역시, 수학자들의 연구 ...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이 단원은 방정식과 함수처럼 다음 학년으로 이어지는 연결단원은 아닙니다. 하지만 근삿값 역시 수 체계의 일부이므로, 개념과 연산 방법을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중3 학생들은 ‘제곱근의 뜻과 성질’ 단원에서 무리수라는 새로운 수 개념이 등장하고, 이를 이용해 연산을 해야 합니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