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영역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나눌 수 있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2백-4백nm, 1nm(나노미터)는 ${10}^{-9}$m)은 생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데, 실생활에서는 주로 살균·소독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시광선(4백-7백nm)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파장 영역의 빛으로 색상을 본다는 것은 곧 ... ...
- 21세기 신 르네상스 시대로 가는길 퓨전 사이언스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최근 미국, 일본, 우리나라가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전략을 내놓고 있다.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정보통신기술(IT) 등의 첨단 신기술은 물론 인지과학까지 각종 과학기술분야를 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의 융합은 21세기 신 르네상스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1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새로운 인재상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설계기술개발, NBT의 나노-바이오 측정·제어기술개발, NIT의 나노정보소재합성기술개발과 나노광정보저장기술개발, 그리고 SIT의 차세대시큐러티기술개발이다.미국과 우리나라의 융합신기술의 의미와 추진전략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만의 특징과 현실을 볼 수 있다. 미국은 신기술 간 융합의 목적을 ...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에 들어가는 상황을 의미할 것이다. 더욱이 이들 가상현실에서는 나노봇 덕분에 오감뿐 아니라 감정, 유머, 성적 즐거움 등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가상현실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는 어떨까. 영화 매트릭스의 1편에서는 죽었던 네오가 부활하고, 2편에서는 트리니티가 다시 ...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이후 이 장비로 원자를 움직이는 새로운 기법이 개발됨으로써 NT의 신기원을 열고 있다. 나노수준의 특성평가 기술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NIT는 미래의 모든 IT 분야의 고기능 소자에 필수적인 핵심과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조만간 수천억달러의 세계 IT 소자 기술 시장에서 일정 ... ...
- 우리가 잘 모르는 보석 이야기 3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유기적 과정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오팔은 일반 보석과 달리 결정화되지 않은 수백nm(나노미터, 1nm=${10}^{-9}$m)의 실리카겔 구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들이 보석이라 불리는 이유는 옛날 사람들이 광물의 개념을 알기 전부터 보석으로 분류했던 전통 때문이다 ...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과학동아 l2003년 06호
- 핵심이 다. 저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고효율 열교환기 개발을 추진중이다.이미 북유럽과 일본에서는 열공급부문에서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온도차에너지를 이용한 지역열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는 지역열 ... ...
- 스파이더맨처럼 벽 오를 수 있다?과학동아 l2003년 06호
- 1μm= ${10}^{-6}$m)인 한가닥이지만, 물체를 달라붙게 하는 다른쪽 끝에는 지름 수백nm(나노미터, 1nm=${10}^{-9}$m) 정도로 가늘어진, 1천개에 이르는 가닥이 존재한다.접착력의 비밀은 반데르발스 힘이라고 한다. 분자 사이에서는 전자의 음전하가 양전하를 유도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생기는데, 이 인력이 ...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3년 05호
- 마이크로미터, 1㎛=${10}^{-6}$m) 정도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얼마나 작은지 짐작할 수 있다. 나노세계를 지배하는 전투생명체인 셈이다. 세균은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으로 봐야 그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이처럼 작은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명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 ...
- 2 NT · BT · IT · ST 필수 장비로 등극과학동아 l2003년 05호
- 활용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절연체 실리콘박막(Silicon On Insulator, SOI) 웨이퍼는 수백nm(나노미터, 1nm=${10}^{-9}$m) 두께를 요구한다. 이 정도 두께의 웨이퍼를 제작하기 위해서 종전에는 이보다 수천배 두꺼운 6백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단위의 웨이퍼 두장을 절연막 사이에 두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