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젖어있기 때문에 직접 태우는 것도 만만치 않다.처치 곤란한 음식물쓰레기를
약간
의 처리과정을 거치면 가축의 사료나 비료가 된다. 또 메탄가스를 만드는 일도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에서 만들어진 메탄가스는 기존의 화석연료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량도 적은 훌륭한 에너지자원이다. 쓰레기가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탄력적으로’ 매달려 있다. 결국 미풍이나 산들바람에도 파르르 떨며, 센바람은 물론
약간
의 바람에도 심하게 흔들리는 것이다.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시나무의 생존에 걸린 문제일 수도 있다. 사시나무가 보통 자라는 곳은 햇빛에 많이 노출된 지역이다. 한낮 동안 잎의 온도는 쉽게 상승하기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백50mL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1시간 이상 지속되는 운동이라면 탄수화물이
약간
함유된 스포츠음료가 좋다.뿐만 아니라 운동 직후에도 물을 마셔 체내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운동 후 체중 감소는 대부분 탈수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운동 후 몸무게가 빠진 만큼의 수분을 보충하면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되기 약 하루 전에 다소 일그러진 둥근 달이다. 이처럼 음력날짜와 실제 달의 월령과는
약간
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이번 보름달은 겉보기지름이 29′정도로 평소보다도 오히려 작다. 정월대보름이나 추석의 달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달의 크기는 명절과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원자핵과 충돌하면 이와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즉 탄성 충돌이 일어나서 원자핵이
약간
퉁겨나가게 된다는 말이다. 이 원자핵은 보통 전자들이 떨어져나가 전하를 띤 상태가 되면 전하를 띤 원자핵은 물질과 전자기반응을 해 에너지를 잃는다. 잃은 에너지를 검출하면 그것이 윔프의 신호인줄 알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확인해봐야 할 듯 싶다.어느 정도 높이에 이르자 홀로 산다는 의미인 독활(獨活)이라는
약간
은 거만한 이름의 산악식물이 나타났고, 주황색 꽃이 귀엽게 핀 동자꽃이 눈에 들어왔다. 이병천 박사는 빙 둘러싼 대원들에게 동자꽃에 얽힌 얘기 한토막을 들려줬다. 옛날 강원도 산골짜기 어느 자그마한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뇌종양 검진에 이용되는 반입자이같은 대칭성 문제를 물리학자는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
약간
만 생각해보면, C와 P변환을 동시에 하면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음의 π중간자 붕괴현상을 C변환에다가 다시 P변환을 시키면 양의 π중간자가 왼손잡이 반뮤온과 왼손잡이 중성미자로 변해 이 ... ...
Ⅱ 투수 헛스윙 유도하는 주무기 변화구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구사하는 직구의 일종인 라이징 패스트볼이다. 공이 빠른데다 타석으로 다가올수록
약간
위로 떠서 타자가 치기 여간 어렵지 않다. 박찬호가 라이징 패스트볼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1초에 30회 정도로 회전하도록 공에 스핀을 줘야 한다. 이처럼 공의 회전은 공의 진행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만약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제 점차 빛이 약해지며 서쪽 지평선 너머로 사라져간다. 현재 화성은 망원경 상에서
약간
찌그러진 원반 모습으로 크기는 가장 크게 보였던 지난 6월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현재 겉보기지름은 11″이며 밝기는 0등급대다. 망원경으로 보면 이미 한쪽이 일그러진 모습이 나타난다. 화성의 표면을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셈이다.HGP와 경쟁적으로 인간 유전체 서열 정보를 규명한 셀레라사가 사용한 방법은
약간
다르다. 이들은 BAC 클론을 사용하는 대신, 전체 유전체를 수천만개의 조각으로 무작위로 잘랐다. 그리고 이들 조각의 염기서열을 읽은 후, 짜깁기 작업을 했다. BAC 클론을 자르고 찾는 과정이 없어서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