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보면 대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빠른 속도로 지나온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넓은 공간을 만나게 했다. 베르누이의 원리를 활용하려는 것이다. 좁은 차체 밑을 지나온 공기는 넓은 공간을 만나 속도가 느려지면서 기압이 높아진다. 그 결과 차체 밑부분 기압이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차량을 위에서 눌러주는 힘이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자도 스마트폰을 기울이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직관적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었다. 원리는 간단했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GPS,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가 스마트폰이 중력방향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정확한 값으로 나타내고, 이것을 와아파이로 드론에 전달한다. 그러면 드론에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못하나?”모든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이 있다면 여러 사회문제가 해결될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복잡하다. 누군 ... 의리를 지키는 일이 정의라고 생각하기 쉽다. 사회관계에서 맹목적인 감정에 흔들리지 않도록 원리 원칙이 필요하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좁은 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그 반작용으로 요구르트 병 로켓은 위로 솟구친다.원리요구르트 병 안에 공기를 계속 주입하면 공기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병 안의 압력이 올라간다. 압력이 높아진 공기는 지우개 뚜껑을 서서히 밀어내고, 뚜껑이 빠지는 순간 요구르트 병이 위로 밀리면서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애를 먹었다.“스마트루어는 사실 매우 간단한 프로그램이었는데도, 소스코드가 어떤 원리로 기계를 움직이는지 몰라 이해하는데 오래 걸렸어요. 같이 출현한 이독실 형님과 송호준 형님에게 기계의 전자, 전기적인 부분에 대해 가르침을 받으면서 프로그래밍했어요. ”두 번째 당구 대결에서는 ...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리튬이온이 양전극에 잡혀 전해질과 음전극으로 들어가는 양이 많을수록 용량이 커지는 원리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금속재료과학과 바센트 쿠머 교수팀은 기존 ‘리튬-황’ 화합물로 만든 배터리를 사용하면 재충전할 때 전자를 포획하는 능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충전과 방전을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삼아 과학 활동을 계속했다. 1730년대부터 광학을 포함한 뉴턴의 이론을 가르쳤고, 뉴턴의 원리를 실험에 응용하기도 했다. 바시는 1776년 볼로냐대 실험물리학과 주임 교수로 임명됐다.크리스티나 로카티도 바시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다. 베네치아 로비고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가정 교사에게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물끄러미 바라보았다.“어떻습니까?”“재미있네요. 원리가 어떻게 되는 거죠?”“원리는 간단해요. 이를테면, 텍스트 기반 인터넷은 정보를 요하죠. IP, 주소, 주민등록번호. 그건 간단히 빼낼 수 있고요. VR넷에서 아바타를 움직이려면 뇌파 신호 전체를 제공해야 해요. 그 신호를 다른 사람에게 쏴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간의 생각을 뒤집는 발견이었다.페아노 곡선은 최근 신소재를 만드는 데 핵심 원리로 쓰였다. 신종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를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한 것이다. 금속을 왼쪽 그림처럼 위아래로 엇갈리게 배열해 굴절률을 높였다. 페아노 곡선을 이용해 더 촘촘히 채워 넣었고, 결과적으로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