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리"(으)로 총 5,2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특징이 없어 보이던 부품들을 본인이 직접 짠 코드로 작동하게 만들면서 학생들은 작동 원리를 더 자연스럽게 습득했다. 또한, 중간 과정에 문제가 생겨도 처음부터 본인이 참여했기 때문에 해결 방법도 금방 찾을 수 있었다. 둔촌고 2학년 이진형 군은 “내가 주도적으로 해서 더 재밌고, 배울 수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이 바꿀 수 있다. 중학교에서 배우는 점, 선, 면의 내용을 확장해 실생활에서도 수학의 원리가 쓰이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만든 수업이다.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문제 해결 능력까지 키울 수 있다. 다양한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세포 내 재활용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오토파지 현상(Autophagy, 자가포식)의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오토파지 분야의 개척자인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행성능이 떨어진다. 털이 군데군데 빠진 배드민턴 공이 멀리 나가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털을 갈아줘야 한다.연구팀은 새의 종류별로 몸무게와 깃털의 길이, 그리고 털갈이 시기 동안 털이 자라는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깃털의 길이는 몸무게의 31 제곱에 비례한 반면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할데인 대신 해밀턴의 손을 흔쾌히 들어주었다!할데인이 해밀턴보다 먼저 혈연 선택의 원리를 이해한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그 아이디어의 소유권은 마땅히 해밀턴에 돌아가야 함을 나는 전혀 의심치 않는다. 과학의 핵심은 어떤 아이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해보다는, 그 아이디어가 지닌 함의를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의학에서 근육과 관련한 질환을 진단하거나 근육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인다. 원리는 아주 간단하다. 팔의 남아 있는 부위와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전극은 바로 아래 운동 신경세포가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업했다. 동아리 회원들은 더 어린 초등학생을 도와 로봇을 만들고, SW가 작동하는 원리를 차근차근 설명했다. 장래에 보안 전문가가 되는 게 꿈이라는 2학년 강동규 학생은 “2년째 봉사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데, 매번 만나다 보니 즐겁고 책임감도 생긴다”고 말했다.안산해양중학교의 SW교육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 주제인) DNA 복제와 RNA 전사, 그리고 단백질 합성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일어나는 원리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1996년부터 2006년까지 연구소 소장을 지낸 리처드 핸더슨 박사(그룹 리더)는 “스타이츠 교수와 키모트립신의 분자 구조를 밝혀낸 성과도 티타임에서 시작됐다”고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쪽 안테나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때 다른 쪽의 주파수가 달라지면 소리가 나는 원리다. 두 안테나 사이에 손을 넣어 움직이면 손과 안테나의 거리가 달라질 때마다 주파수가 달라진다. 서 있는 안테나에 가까워질수록 높은음을, 누워 있는 안테나에 가까워질수록 낮은 소리를 낸다.6 꺅!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나뭇가지를 흔들면 붙어있는 작은 나뭇가지에도 진동이 전달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주향이동 단층 일부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인접한 다른 주향이동 단층에도 힘이 전달된다. 특히 이 단층들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많이 작용하고, 바로 여기서 여진이 발생한다. 이번에도 규모 4.5의 여진이 본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