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던진 한마디에, 겁 없이 “그래!”라고 답해 버렸어요. 지금까지 보드게임을 할 줄만 알았지, 직접 만드는 건 태어나 처음이었어요. 하지만 평소 ‘수학’을 좋아한 덕분에 성공적으로 도전을 마칠 수 있었답니다. 1단계. 보드게임 즐기며 형식 찾기 #규칙_찾기각자 경험한 여러 종류의 보드게임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붉은색은 1, 파란색은 2, 노란색은 3, 검은색은 4, 회색은 5로 정한 후, 그림의 첫 번째 줄의 색을 수열로 나타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규칙성 없이 1과 5 사이에 숫자들이 움직이고 있죠? 무질서한 선율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국 1과 5 사이의 값 안에서 이런 불규칙함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복제 로봇은 Rev-9만큼 외모가 빼어나진 않지만, 우리의 삶을 조금 더 윤택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잘생긴 Rev-9은 현실 말고 영화 속에서 확인하자. ┼자기 복제 로봇의 가능성을 보여준 생명 게임 노이만이 세포 자동자 이론을 구현해내지 못하자, 이 이론은 학계에서 사장되는 듯 했다. 하지만 197 ...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기지국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정보 손실이 줄어드는 동시에 수신 신호의 강도는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이 교수는 “기지국 협력 전송 기법은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기지국의 시간을 일치시켜야 하는 등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며 “4G 개통 당시 이런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처음으로 확인했다. 로즈 교수는 AAAS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실험 설계가 잘못된 줄 알았다”며 “그 때문에 졸업이 몇 년은 더 늦어졌다”고 회상했다. 9월 12일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29번째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다. 1991년 하버드대 과학유머잡지인 ‘황당무계 리서치 연보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비타민 D3만 섭취할 때보다 뼛속 콜라겐이 더 많이 형성돼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렇듯 규소라는 원소는 화학뿐만 아니라 전자공학, 재료공학, 생명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원소로 활약하고 있다. 또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엘리베이터는 지금도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어요. 2017년, 독일의 티센크루프 회사는 밧줄을 없애고 자석의 힘을 이용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기부상 방식의 엘리베이터를 공개했어요. 2020년엔 독일 베를린의 이스트 사이드 타워에 실제로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지요. 또 더 먼 미래에는 ...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보냈어요. 장 교수 는 대원들이 6년간 보내준 기록 자료 덕분에 원래 는 멸종위기인 줄도 몰랐던 수원청개구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보존 계획을 세울 수 있었지요.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린이과학동아가 장 교수와 함께 생태를 연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대 원들이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생물의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어떻게 될까? 병이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발차기의 힘, 특히 병을 밀치는 힘을 줄여야 한다. 가령 미국 영화배우 라이언 레이놀즈의 병뚜껑 챌린지 영상을 보면 병을 제대로 고정하지 않은 채 힘껏 걷어차 병뚜껑이 열리는 대신 병이 통째로 날아간다.병이 고정되지 않았을 때 병을 쓰러뜨리지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나타났다. 느리게 회전하는 안테나가 만든 미세한 진동이 우리를 그토록 괴롭힐 줄 몰랐다. 한밤중에 전파망원경을 오르내린 날들이 부지기수였다. 이제는 어엿하게 세계적 수준으로 발돋움한 KVN이 천문학자들이 사랑하고, 국민이 자랑스러워하는 관측 시스템으로 오래도록 남았으면 좋겠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