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냉동인간까지 미래에도 질소의 역할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깨끗한 환경을 지켜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석탄, 석유 등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탄소 에너지원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체물질로 수소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수소는 가연성이 높아 장거리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파고 물을 주입하면서 지진이 일어났다는 건 확실하죠. 하지만 경주 지진이 포항 단층에 줄 수 있는 영향을 계산한 결과 200~500Pa(파스칼)정도로 나왔어요. 이는 매일 지구의 조석 운동(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치는 힘의 변화량과 비슷한 수준이죠. 물을 주입하면서 생긴 작은 지진들이 진원 근처에 준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아이디어는 미국 물리학자 아서 로젠펠트가 냈어요. 1973년, 로젠펠트가 주유소에 갔는데 줄이 엄청 길었어요. 기다리면서 보니 모든 차가 시동을 켜고 있더래요. 로젠펠트는 에너지를 아껴야겠다는 생각에 이중창, 쿨루프 등의 아이디어를 냈어요. 우리 연구소도 족보가 있죠? Q 그래서 옥상에 흰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나라는 우리나라와 중국뿐입니다. 중국은 국토도 크고 인구가 많으니 수적으로 견줄 수 없을 만큼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나라가 공존했던 탓인지, 주요 기록을 제외하고는 거짓으로 기록된 관측자료도 종종 섞여있지요. 반면 우리 선조들의 자료는 수적으로는 적지만 관측 실력이 ...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라길래 수학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모여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거나 연구 활동을 할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은 거의 없단다. 수학을 나누고 베풀며 무엇보다 모든 걸 스스로 해내야 진짜 수학 천재라고 말하는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동아리 G.O.M을 만났다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어려움을 토로했다. 중국 출신인 우훙진 씨도 “‘박휘’가 바퀴벌레를 뜻하는 말일 줄은 상상도 못했다”며 황당해했다. 반면 대조군으로 설정한 한국인 3명은 평균 2분 이내에 정확한 뜻을 해석해냈다. 처음 해석을 시작할 때에는 다소 머뭇거리기도 했지만, 이내 적응이 된 듯 술술 써내려갔다.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예쁜꼬마선충의 성별 신경망 지도가 각각 완성됐다. 스콧 에몬스 미국 알베르트아인슈타인의대 신경과학부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의 뇌신경망 지도인 ... 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인간의 신경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doi: 10.1038/s41586-019-1352-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제거하는데,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정크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프로테아좀을 바로 활성화시켜 정크 단백질을 없애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2010년 9월 ‘고속 대량(high-throughput)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오직 촉각에만 의존한 채 벽을 잡고 따라 걸어 들어가다 보면 어느 순간 거대한 붉은 빛줄기가 보입니다. 이 작품은 복도나 전시 공간에 빛을 투사해, 하나 이상 겹쳐진 면과 선을 만든 작품입니다. 앞서 터렐은 빛을 물질로 여겼다고 했지요? 빛이 마치 물질이 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 작품입니다 ... ...
- 아폴로 11, 연습만이 살 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방식이었다. 마거릿 해밀턴도 그 중 한 명이었다.24세에 결혼한 해밀턴은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어 딸 로렌을 실험실에 데려오곤 했다. 어느 날, 로렌이 아폴로의 시뮬레이터를 건드려 과부하가 걸리며 꺼지는 사건이 발생했고, 해밀턴은 이런 일이 우주에서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해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