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10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냄새 정말 볼 수 있나
2015.04.24
박찬규 건국대 동물생명학과 교수는 “후각 능력은 냄새 식별 능력, 냄새에 대한
민감
도 등 복합적으로 결정되는 만큼 냄새의 종류나 후각 수용체 유전자 수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들다”면서도 “드라마 설정상 주인공은 개 이상의 후각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없기 때문이다. 가축화에 성공한 누에와는 달리 거미는 대량사육이 불가능하다. 영역에
민감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여러 마리를 두면 서로 잡아먹기 때문이다. 또 살아있는 먹이만 먹는 것도 문제다. 설사 사육에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거미는 보통 대여섯 가지 유형의 거미줄을 만들기 때문에 ... ...
[미래를 듣는다 4] “독일 통일,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해야”
2015.04.06
통준위) 활동 등 통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것은 바람직한 일입니다. 하지만
민감
한 문제인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하지요.” ― 오늘 독일의 역사에 공부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평소 독일에 관심이 많았습니까. “젊은 시절 법률 공부를 해서 독일은 제게 친숙한 곳입니다. 앞서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5.04.05
구조여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나선구조 덕분에 전파나 빛에 훨씬
민감
하게 반응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경우 고효율 광전자 소자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이 PNA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면서도 자기조립하는 특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나타나지 않는다. 즉 후각 정보와 미각 정보가 서로 궁합이 맞을 때(이 경우 달콤함)
민감
도가 커진다는 것. 논문은 미각과 후각 외에 시각과 촉각, 청각 등 다른 감각들도 음식의 풍미를 결정하는데 변수가 된다는 연구결과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촉각과 청각까지는 몰라도 시각은 풍미에 영향을 ... ...
“우리 놀러가자!”
과학동아
l
2015.03.26
불구하고 검색량의 12.4%를 만들어냈다. 제일기획은 관심추구형이 ‘뜨는 지역’에
민감
한 이유가 타인에게 자신을 매력적으로 보이려는 경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색 있는 핫플레이스를 찾아 SNS에 공유하면서 관심을 받고자 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모험형’은 남들이 알지 못하는 ... ...
취약종 일리피카 재등장, 피카츄 실제 모델 멸종 됐는 줄 알았는데…“깜짝+화들짝”
동아닷컴
l
2015.03.25
다른 피카와 마찬가지로 해발 2800∼4100m의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환경 변화에
민감
하다. 1990년대 약 2000마리가 사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이후 목초지 감소와 대기오염 등 영향으로 개체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일리피카는 세계자연보호연맹 멸종위기동물 리스트에서 ‘취약종’으로 분류 ... ...
[미래를 듣는다 2] “우리 몸의 세포처럼 응집력 높여야”
2015.03.24
아닐 때가 없는 셈이지요. 우리는 또 우리보다 앞선 나라와 거리를 재기 때문에 순위에
민감
하고, 더욱 위기의식을 느낍니다. 하지만 ‘위기’가 ‘기회’라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저는 우리가 느끼는 위기를 해결할 과학적 방법론을 찾자는 이번 포럼의 취지에 동의해 이번 포럼에 참여했습니다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박 교수는 “나노선 합성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했다”면서 “특정한 빛만
민감
하게 감지하는 광검출기 등에 응용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나노분야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0일자에 게재됐다. ... ...
화이트데이 맞이 달콤한 당류 9종 집중 분석
2015.03.13
설탕이 충치를 일으킬 뿐 아니라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부터다. 특히 혈당에
민감
한 당뇨 환자에게 적정치 이상의 설탕은 치명적일 수 있다. 2012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설탕(자당)을 포함한 과당, 포도당은 담배와 술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논문을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