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비움의 철학’을 실험에 적용한 결과다. 즉 사사이 박사는 배아줄기세포가 너무나
민감
하기 때문에 외부 자극을 최소화한 채 방향제시만 해서 스스로 특정 조직이나 기관으로 분화하게 유도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세포배양에 기본 ‘소모품’인 소의 혈장(serum)을 과감히 빼고(다양한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평균보다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아세토페논은 도대체 어떤 경로로 자신에
민감
한 뉴런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를 여러 세대에 걸쳐 전달할 수 있었을까. 흥미롭게도 이들 생쥐에서는 아세톤페논과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의 유전자인 Olfr151이 많이 발현됐다. 즉 아세토페논이 어떤 ... ...
한국인 수학자, 세계 수학계 주목 한 눈에 받다
2014.08.14
씨의 아들이다. 황 교수는 “각국 수학계가 ICM에 자국의 초청 강연자가 몇 명인지에
민감
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놀랐던 적이 있다”면서 “올해 국제수학자대회 기조연설자로 뽑혔다는 말에 전 세계에서 정말 많은 분들이 축하 e메일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늘 ... ...
살아있는 세포를 유리로 코팅한다고?
2014.08.12
보통의 자궁경부암 세포보다 생존률이 높았다. 양성호 교수는 “환경 변화에
민감
한 동물세포를 인공적 방식으로 보호해 생존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바이오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동물세포를 응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않을까. 지난 100여 년 동안 뇌전증 치료제가 여럿 개발됐는데, 다수가 이온채널의
민감
도를 조절하는 물질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뇌전증 환자의 30% 정도는 약물이 듣지 않는다고 한다. 특집의 한 기사에는 뇌전증에 걸린 딸을 둔 한 엄마의 사연이 소개돼 있는데 놀라운 모정이다.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①] 수학 불모지에서 중심국으로
과학동아
l
2014.07.18
놀랐던 기억이 있다”면서 “각국 수학계가 ICM에 자국의 초청 강연자가 몇 명인지에
민감
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때만 해도 IMU에서 한국의 지위는 칠레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IMU는 회원국의 수학 논문 수를 토대로 최저 1그룹에서 ... ...
사고만큼 두려운, 반복되는 그날의 기억
2014.07.16
효과적이며 카타르시스를 통해 외상적 사건을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안구운동
민감
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등의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양측성 안구운동을 통해 뇌 활동을 촉진시킨 상태에서 사고 기억을 처리함으로써 사고와 관련된 부정적 ... ...
장마 알리는 치자꽃, 겨울 예측하는 무궁화
과학동아
l
2014.07.11
17일 시작해 다음 주 중 끝날 것으로 예보했다. 과학자들은 식물이 환경에 가장
민감
하게 반응한다는 점에 주목해 기후변화를 눈으로 확인하는 도구로 식물을 활용해 왔다. 실제로 건국대 지리학과 이승호 교수와 이경미 박사 연구팀은 한반도에 사는 식물의 계절적 변화를 관측한 결과 3월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첨가물을 잔뜩 집어넣어 속성을 대량생산한 빵을 먹으면서 깊은 풍미를 잃고 대신 글루텐
민감
성을 얻게 된 건 아닐까. 다음은 20세기 초 ‘사기 억제를 위한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gress for the Suppression of Fraud)’가 소집한 전문가 집단이 제시한 빵의 법적 정의다. 이에 따르면 오늘날 우리가 먹고 있는 ... ...
최첨단 식물 공장, KIST 강릉분원을 가다
과학동아
l
2014.06.29
흡착 질량분석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함 박사는 “사람의 느린 작업 속도는
민감
한 세포에 영향을 끼쳐 실험 결과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iHTac을 통해 시료 분석 속도를 빨리 하면 정확도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