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싫어함
과민증
아픔
열병
뉴스
"
염증
"(으)로 총 1,46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카 바이러스 자세한 구조 첫 확인
2016.04.01
바이러스의 본모습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마이클 로스만 미국 퍼듀대 교수팀은 퍼듀
염증
면역학전염성질병연구소와 공동으로 지카 바이러스의 구조를 밝혀냈다고 ‘사이언스’ 3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에게서 떼어 낸 지카 바이러스의 구조를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원자 ... ...
제주 해조류 ‘감태’에서 아토피 치료법 찾았다
2016.03.30
TSLP)’이 피부각질세포에서 증가하고 이로 인해 면역반응의 균형이 깨진다. 그 결과
염증
이 계속 진행되거나 악화된다. 연구팀은 감태에서 추출한 ‘다이에콜’이 실험실에서 배양한 피부각질세포에서 TSLP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먼저 확인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킨 실험용 쥐를 ... ...
비슷한 희귀질환 앓고 있지만… 두 번 우는 환자들
동아일보
l
2016.03.28
#2. 박보람 씨(34·여)의 경우는 사뭇 달랐다. 박 씨는 시신경과 척수에 까닭 모를
염증
이 번져 사지가 마비되는 희귀질환인 ‘시신경척수염’ 탓에 열일곱 살 때부터 눈이 보이지 않았고 스물네 살 때부터 걷지 못했다. ‘돈 안 되는’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제약사가 드물고 약값이 비싸다 ... ...
0.5㎜ 혈관까지 선명하게…고위험 동맥경화반 조기진단 기술 첫 개발
2016.03.23
구분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대식세포가 동맥경화반을 공격해
염증
반응이 심화될 경우 동맥경화반을 유지하는 보호섬유막이 파괴되며 혈관을 막아 고위험 동맥경화반이 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키토산을 기반으로 대식세포에만 달라붙는 ... ...
[Health&Beauty]잠이 보약! 나이 들수록 잠 잘 자야 치매―당뇨 위험 줄인다
동아일보
l
2016.03.23
분야에서 수행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의
염증
세포 반응을 비롯해 산화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도 증가했다. 반면 정신지체와 자폐증을 막는 단백질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수면 결핍이 인지기능을 떨어뜨리고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이나 ... ...
[Health&Beauty]발바닥 행복찾기? 찜질·스트레칭이 최고!
동아일보
l
2016.03.23
최근엔 외부에서 센 초음파 자극을 주는 체외충격파(ESWT)와 초음파를 이용해 근막의
염증
부위를 없애는 경피적근막유리술,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미세수술 등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장단점이 있는 만큼 전문가와 상담한 뒤 본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발 스트레칭과 ... ...
[Health&Beauty]오십견-회전근개파열-관절와순파열… 어깨통증 정확한 진단부터
동아일보
l
2016.03.23
주로 40대 때 파열을 겪는 경우가 많다. 회전근개 파열은 시간이 지날수록 파열 상태와
염증
이 악화된다. 어깨통증이 반복되거나 물건을 들어올리기 힘든 상황이 지속된다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치하면 파열이 진행되고 모든 ... ...
헉! 미세먼지가 알코올 중독보다 더 위험
2016.03.07
6만6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세먼지는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을 일으켜 폐 기능 저하, 호흡 곤란 등을 동반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2030년이면 COPD가 전 세계 사망 원인 가운데 3위를 차지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 ...
희귀 장질환 크론병 절반이 20, 30대
동아일보
l
2016.03.07
만성
염증
성 장 질환으로 복통, 설사,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염증
이 장뿐 아니라 식도, 위, 항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적지만 장 폐색 및 협착 등 합병증 우려가 높고 완치가 잘되지 않는 희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크론병은 법적으로도 희귀난치질환 ... ...
당 단백질 분석 방법 세계 첫 개발… 혈액검사로 암검진 끝낸다
2016.03.04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당단백질은 사람의 혈액에 있는 물질로 각종
염증
이나 암 등 질병의 종류에 따라 성분이 변해 ‘만능 건강진단 물질’로 불린다. 단백질에 붙어 있는 당이 세포의 ‘안테나’ 역할을 하지만 당단백질 구조가 워낙 복잡해 그간 분석이 쉽지 않았다. 연구진은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