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뇌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여전히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많은 뇌. 고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는 2011년부터 시냅스 구조 및 기능 연구실을 이끌면서 뇌의 비밀을 밝힐 숨은 시냅스 접착 단백질을 찾고, 이들이 어떤 신경전달물질과 반응하는지 추적하고 있다. 201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수 있었던 거예요.하지만 로봇이 사람처럼 촉감을 느끼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에요.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는 “사람의 손에는 촉감 수용기가 약 1만 7천 개 있지만, 로봇 손은 비용 탓에 많아야 십여 개의 센서를 손가락 끝에만 달고 있다”며, “현재 구현된 촉감은 사람의 30% ... ...
- 국경 넘나드는 초원수리, 연구비 거덜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자들이 내 소식에 기뻐할 줄 알았는데, 내가 너무 멀리 와서 그런 건가…. 아니면 작년과 다른 곳으로 놀러와서? 2019년 10월, SNS에서 ‘독수리 통신 요금 보충하기’ 크라우드펀딩이 화제가 됐어요. ‘민(Min)’이라는 이름이 붙은 초원수리 한 마리의 자유로운 비행으로 인해 시작된 모금이었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19년 11월 28일 중국 네이멍구에서 네 번째 흑사병 확진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흑사병은 1347년 유럽에서 창궐해 14세기 유럽 인구의 30%를 앗아간 무서운 병입니다. 당시 최소 7500만 명이 사망하며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기록됐죠. 이에 네이멍구 보건당국은 대대적인 쥐 퇴치작업을 펼쳤습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40cm에 무게가 23kg인 로버(Rover)가 느린 속도로 서서히 앞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로봇미디어연구소가 개발 중인 한국형 달 탐사 로버다. 로버는 행성 표면을 주행하며 탐사하는 우주로봇을 말한다. 2030년 우리 정부가 처음으로 달 탐사에 나설 때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9년 6월 20일, 가랑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오후. 안개 낀 전남 고흥군 봉래면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선착장에 커다란 배 한 대가 모습을 드러냈다. 한 달 뒤 발사에 사용될 나로호 1단을 실은 3000t(톤)급 바지선이었다. 1단 반입은 보안상의 이유로 도착과 이동 시간, 경로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e메일을 보냈다. 결국 절실한 자에게 기회가 온다고 했던가. 한 군데서 연락이 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능시스템 설계 연구실(ISD Lab)이었다. 그렇게 나는 고등학교 3학년 여름방학 내내 GIST 연구실에서 인턴으로 지냈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회에서 발표할 기회까지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아주 오래 전 머나먼 은하계에서….”스타워즈 시리즈는 1977년 처음 개봉한 이래 무려 43년 동안 한결같은 문장으로 첫 장면을 시작했다. 그런데 어쩌면 영화관에서는 이 문구를 더는 보기 힘들 수도 있다. 43년 동안의 이야기가 일단락되는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가 1월 8일에 개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에는 피검사만으로도 다양한 질병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런 검사를 ‘체외진단검사’라고 합니다. 체외진단검사에 쓰이는 시약을 만드는 회사에서 활약하는 수학자가 있어 만나봤습니다. 진단 시약이 뭔가요?제가 일하는 씨젠은 분자 진단 시약을 만드는 회사입 ... ...
- [현장취재] 하늘에 묻는다 … 세종이 하늘을 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봉할 영화가 매우 기대된다”고 소감을 말했어요.장영실과 세종대왕이 어떻게 조선의 과학기술을 끌어올렸는지, 두 사람의 신분을 뛰어넘는 강력한 케미가 궁금한 친구들은 영화 에서 확인하세요! 용어정리* 1AU= 태양부터 지구까지의 거리로 약 1억 5000만km다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