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노벨 물리학상의 나머지 절반의 상금은 우주 진화 과정에 대한 기초 이론을 정립한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임스 피블스 교수에게 돌아갔어요. 빅뱅부터 현재의 우주 거대구조까지 피블스 교수가 알아낸 우주의 비밀을 들어봐요~!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197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문 ... ...
-
- [열혈 가족 인터뷰] 과학자 가족의 어과동 활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우주를 연구하는 황정아 박사의 집에서는 매일 어과동 전쟁이 펼쳐져요. 이제 중학교에 막 올라간 첫째 영주, 올해부터 정기구독자를 넘겨받은 둘째 선우, ‘아이팝콘’이 끝나 아쉬워하는 셋째 지효까지. 먼저 읽기 위해 몰~래 다른 책 사이에 어과동을 숨겨놓는 기술까지 쓰 ... ...
-
-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경진대회는 주어진 디지털기기의 정보를 분석해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는 대회예요. 과학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디지털 포렌식은 중요한 과학수사 기법이 됐어요.Q 범죄와 관련된 사람은 있었나요?네. 실험실에 침입한 사람은 아마 판다나였을 거예요. 인공지능 스피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시 3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진술을 바탕으로 범인의 인상착의를 모아 하나의 얼굴 형태를 그려내는 것이지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몽타주를 그리는 방법도 진화했어요. 최근 네덜란드 에라스뮈스대학교 만프레드 카이저 교수님은 범죄 현장에서 확보한 유전자 정보로 범인의 머리카락과 홍채의 색깔 등 생김새를 예상하는 ... ...
-
- 33년 만에 사건해결! 과학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 도움김영삼(경기북부경찰청 검시조사관), 김익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상미디어연구단 단장), 대검찰청 디지털수사지원과, 박명서(국민대학교 금융정보보안학과 연구원), 박완용(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이병철(충북지방경찰청 폴-드론 수색팀), 이한철(대검찰청 ... ...
-
-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시간이 걸려요. 만약 이 시간을 줄인다면 실종자를 더욱 빨리 찾을 수 있을 거예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영상미디어연구단은 실종자를 빨리 찾기 위해 ‘복합인지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우선, 인공지능 CCTV는 수십 대의 CCTV 영상 속에서 실종자를 찾아내요. 연구팀은 여러 환경에서 찍힌 ... ...
-
- 로봇도 만나고, AI 연주도 듣고~! 2019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사람이 춤춘다!올해 사이언스페스티벌의 주제가 ‘과학과 문화의 융합’인 만큼 과학기술이 접목된 문화 행사도 다양해요. 코드로 그린 그림을 전시하는 코너가 마련되기도 하고, 모션 캡쳐 기술을 이용해 관람객들의 동작을 수집하는 전시가 열리기도 하지요. 또 관람객들의 소리를 여러 대의 ... ...
-
-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33년 만에 밝혀진 비밀2003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은 1980년대 말 전국을 공포에 떨게 했던 화성 연쇄 살인 사건을 모티프로 만들어졌어요. 당시 영화를 본 관객들은 경찰 180만 명이 투입됐고 3천 명이 조사를 받았는데도 범인을 잡지 못한 현실에 분노했지요. 화성 연쇄 살인 사 ...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독도 바다는 사람의 발길이 드물어 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명정구 박사는 “지금까지 독도에 사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은 해조류 223종, 성게나 문어, 조개와 같은 무척추동물 450여 종, 인상어, 돌돔, 혹돔 등의 어류 177종으로, 독도엔 다양한 생물이 살아 숨 쉬고 ... ...
-
- ㄱㅇㅈ···기술로 언어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컴퓨터가 있다! 지금이야 키보드나 스마트폰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게 쉽지만 1969년, 과학기술처에서 ‘한글 기계화 표준 자판안’을 제정하기 전까진 공문서에도 한자가 섞여 쓰이는 등 한글만으로 문서를 쓰기 힘들었어요. 하지만 표준 한글 타자기가 보급되면서 한글을 더욱 쉽게 쓰고, 정보를 더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