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굿바이 2019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굿바이, 2019Part1.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Part2.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Part3. 2020 전망, 어떤 이슈가 주목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1. 블랙홀 그림자 최초 관측 국제협력 프로젝트인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연구팀은 전 세계 전파망원경 8기를 동원해 얻은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귀금속 하면 금, 금 하면 귀금속...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줄곧 금은 귀금속의 대명사였다. 금이 비단 귀금속으로써의 가치만 지닌 것은 아니다. 사실 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맹활약해온, 그리고 앞으로 더욱 빛날, 인류를 위한 진정한 보물이다. 안정적이어서 아름다운, 귀금속의 대명사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러시아 모스크바에 한러 공동설계사무소를 열던 2005년, 협력사인 흐루니체프의 살류트 설계국에서는 나로호(KSLV-I) 1단에 들어갈 부품 설계를 막 시작하고 있었다. 산화제 탱크와 연료 탱크, 주 엔진 등이 들어간 나로호의 1단 동체를 개발하는 것은 러시아의 극비 기술이기에 설계는 삼엄한 경비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널 알게 된 이후 / 내 삶은 온통 너 / 사소한 게 사소하지 않게 만들어버린 / 너라는 별""우주를 알게 된 이후 / 내 우주는 온통 은하 / 사소한 게 사소하지 않게 만들어버린 / 너라는 왜소은하" -방탄소년단 6집 앨범 '작은 것들을 위한 시' 가사 중 방탄소년단이 2019년 발표한 6집 앨범의 타이틀곡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년제, 그리고 1년에 세 학기로 운영되는 영국의 대학들은 학기 사이사이에, 그러니까 1년에 총 3번의 방학이 있다. 1학기 방학은 12월 중순부터 2주다. 1월에 시험을 보는 학과들은 이 방학을 쉽게 즐길 수 없다. 1월에 시험이 없다고 해서 마음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방학 중 제출해야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모의 훈련이 매년 열리기 시작했어요. 대전 등에 소행성이 떨어질 것을 가정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방청 등과 함께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점검하고 연습하지요. 조성기 우주위험연구실 실장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은 내일 당장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다”며, “전 인류가 힘써 추락에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책임연구원은 UST가 설립된 2004년부터 교수로 활동하면서 지금은 U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쿨 나노-정보융합전공 주임교수를 맡아 KIST의 ‘소재 군단’을 이끌고 있다. 소재 군단에는 2012년부터 UST 교수가 된 손 교수와 올해 처음 UST 교수로 선임된 지 교수, 그리고 박 교수까지 교수진만 4명이다.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러분도 갯벌과 블루카본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당부한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미크로네시아의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10년 이상 열대해양생물을 연구했다. 현재는 국내 염생 식물을 조사해 블루카본의 양을 산정하는 연구를 수행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상으로 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자가 속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뇌-컴퓨터인터페이스연구실은 일반인도 쓸 수 있도록 뇌 신호로 생활 기기를 제어하는 플랫폼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많은 연구팀이 뇌-컴퓨터 접속기술을 연구하고 있지만, 뇌라는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