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은"(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과학동아 l2004년 06호
- 사실 국 교수에게는 남모르는 즐거움이 있다. 제법 무게가 나가는 호기심이 그의 가슴 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우리 세포 속에 들어있는 작은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호기심이 그것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일종의 에너지 변환시스템. 만약 미토콘드리아를 닮은 나노 크기의 ...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과학동아 l2004년 06호
- 만약 지구만한 크기로 만든다면 이 정도의 오차로 인해 형성되는 가장 높은 산과 가장 깊은 바다는 단지 2.4m 밖에 안된다.이 외에도 미약한 상대론적 효과를 감지하기 위해서 실험에 방해가 되는 주변 잡음을 철저히 제거해야만 했다. 어떤 실험이든 기본 방향은 ‘측정의 효과는 최대로, 잡음은 ...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과학동아 l2004년 06호
- 하는 홍조류가 서식한다. 김, 개도박, 우뭇가사리 등이 대표적인 홍조류다. 수심이 깊은 곳으로 갈수록 짧은 파장, 즉 청색의 빛을 흡수하는 미역과 다시마 같은 갈조류가 우점을 하게 된다.즉 연안에서 밑으로 내려감에 따라 해조류의 우점종이 녹조류에서 홍조류를 거쳐 갈조류로 변한다. 한편 ...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과학동아 l2004년 06호
- 4-5살 정도의 어린이와 비슷한 지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가마우지는 깊은 바닷물 속에서 일생 동안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사는데, 자신의 배설물을 바람이 잘 부는 바닷가 바위 꼭대기에 버린다. 가마우지가 해안가에서 오랫동안 살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배설물을 물 속에 버리지 ...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과학동아 l2004년 05호
- 만큼 좋은 재료가 없다. 나이테가 촘촘히 박혀있고 간격이 일정한 가문비나무는 넓고 깊은 소리를 만드는 최고의 재료다.나무와 악기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이뤄진 것은 바이올린이었다. 피아노 만큼이나 목재의 품질을 따지는 것이 바로 바이올린. 바이올린 소리는 현에서 나온 음파가 ... ...
- 1. 반갑다 향고래야과학동아 l2004년 05호
- 깊숙이 들어온 만이나 강에, 어떤 종은 연안이나 큰 바다에서만 생활한다. 어떤 종은 깊은 바다에서, 또다른 종은 빙하 주변을 서식지로 삼는다. 물론 고래들이 왜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는지 완벽히 알려진 것은 없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먹이가 많고 어족이 풍부한 ‘기름진’ 바다를 ... ...
- 2. 지리산 반달가슴곰 반돌이 가출사건과학동아 l2004년 05호
- 1백23kg이었다. 목의 상처는 말끔히 나아있었다.곰관리팀은 반돌이를 국립공원 내의 깊은 삼림지대로 이송해 재방사했고, 발신기로 다시 추적을 시작했다. 탈출에서 포획까지 1백11일 동안 체득한 이 경험은 지리산에 반달곰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날까지 소중하게 활용될 것이다. 서로를 격려하며 ...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일상을 피해가는 자연에서, 아름드리 나무와 또 마주치게 되니 어느덧 다시 나무 속 깊은 세계에 빠져들기 마련이다. 이렇게 나무와 더불어 보낸 세월에서 우러나오는 “나무와 마주앉아 대화한다” 는 박 교수의 말을 누가 헛으로 들을 수 있을 것인가.정년을 1년반 정도 남기고 있는 박 교수는 ...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과학동아 l2004년 04호
- 대기에 지구보다 2배나 큰 구멍을 만들었다.슈메이커 박사의 이력은 ‘극적인’ 충돌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그의 박사논문은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미티어 크레이터’(Meteor Crater, 운석공)가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에 의해 생겼다는 연구였다. 그는 달의 크레이터도 소행성의 충돌에 의한 ...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과학동아 l2004년 04호
- 겪어왔던 것일까?2천8백40만년 이전까지 백두산 일대는 만주 벌판 같은 곳이었다. 그 땅속 깊은 곳, 맨틀에는 당시 마그마의 근원지인 열점(hot spot)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마그마 중 일부가 2천8백40만년 경 백두산 일대의 갈라진 틈새를 통해 지표 밖으로 나왔다. 그리고 2천3백만년 전부터 1천9백만년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