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차지하고 있는 석탄화력과 원자력 발전량은 2030년 각각 36.1%와 23.9%로 줄이고,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2017년 6.9%에서 2030년 20%까지 3배가량 확대한다는 게 골자다. LNG의 비중도 16.9%에서 18.8%로 늘어난다.비고 사무총장은 “전 세계 에너지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는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촉진시켜 줄 촉매가 반드시 필요하다. 촉매의 성능에 따라 시간당 생성되는 에너지의 양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현재 촉매는 백금을 주재료로 사용한다. 유 교수는 “백금은 다른 어떤 물질보다도 활성도가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가격과 매장량이다. 백금 가격은 금속 중에서도 고가에 속할 ...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적색 및 녹색 원추세포가 나타났다. 놀랍게도 색상을 결정하는 것은 갑상선호르몬의 양이었다.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해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제거하자 청색만 감지하는 망막이 만들어졌다. 반면 망막 발달 초기에 갑상선호르몬을 더 많이 첨가했더니 적색과 녹색 원추세포만 있는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세균이 결합하는 부위(PⅢ 단백질)에 표지되도록 만드는데, 바이러스 표면에 표지되는 양이 적어 결합력이 강한 항체를 선별하는 데 특히 용이하다.파지 디스플레이는 방향적 진화를 만나 더욱 발전했다. 방향적 진화를 통해 항체의 기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때 돌연변이가 도입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존에 알려진 기후 피드백 효과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지구시스템 모형을 이용한 해양 생지역학 피드백 연구는 북극해의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회귀분석은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들 사이 관계를 기술하는 것인데 종속 변수가 특별히 양의 정수면 푸아송 회귀분석이라고 합니다.분석 결과 귀벌레 현상이 가장 강력한 곡은 레이디 가가의 ‘배드 로맨스’였습니다. 제목이 낯설더라도 들어보면 누구나 한 번씩은 들어본 익숙한 곡일 텐데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래는 변압기의 구조와 변압 과정이다. 특히, 변압기 양끝에서 코일의 감은 수는 양끝에 걸리는 전압과 비례한다. 따라서 변압기로 전압을 높이려면, 1차 코일의 감은 수보다 2차 코일의 감은 수가 많아야 한다. 반대로 변압기로 전압을 낮추려면, 1차 코일의 감은 수가 2차 코일의 감은 수보다 ... ...
- Intro. 2020년, 도시공원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바쁘다 바빠! 2020년 5월 15일, 오늘은 공원에 사는 동물 식구들 모두가 이사하는 날이야. 저기 나무밑에 사는 개미부터 고목나무에 둥지를 튼 딱따구리까지 모두 다른 곳으로 떠나야 하지. 갑자기 단체로 웬 이사냐고? 그 이유를 들려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20년, 도시공원이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등록된 1179건의 데이터 중 식물이 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286건, 조류 183건, 양서파충류 26건, 어류 12건, 생태계 교란종 5건 등이 있답니다. 수원시 정자동에서는 도심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오색딱따구리, 금곡동에서는 수리부엉이가 발견됐어요. 또 좀집게벌레, 날개띠좀잠자리 등 생소한 이름의 ... ...
- Part 5. 가장 가까운 도시공원, 가로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우리집 주변에는 공원이 없다고? 천만에! 집을 나서자마자 만날 수 있는 공원이 있지! 바로 도로변에 길게 늘어져 있는 가로수야~! 가로수가 위험하다!가로수는 도로를 아름답게 만들고, 차도의 오염물질과 소음이 인도로 넘어오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해요. 그런데 가로수가 썩거나 제대로 성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