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나무 종별로 군락을 이루게 한 뒤 군락 전체의 단풍 현상을 관측한다. 미국의 하버드 삼림’이 대표적이다. 미국 하버드대가 생태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화산 폭발로 인한 기후변화와 운석 충돌이 연이어 발생해 ‘원투펀치’로 공룡을 멸종으로 내몰았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7월 5일자에 발표했다.렌 교수팀은 데칸고원 용암대지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유카탄반도의 운석충돌 시기와 맞물려 있었으며, 데칸고원 화산의 70%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능성이 보이면 리더로 뽑아 6년 동안 지원한다. 연구자의 연구 방향을 제한하거나 조종하지 않는다. 테일러 그룹 리더는 “연구소에서 신경세포의 노화와 관련된 연구를 하기 위해 날 뽑았지만, 내가 내일부터 다른 연구를 하겠다고 해도 허락할 것”이라며 “지원 기간이 끝났을 때 연구 성과로 ... ...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암컷 빈투롱에게서 오줌 샘플을 채취해 성분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제 오줌 속에서 총 29종의 화학물질을 발견했지요. 이 중에서 ‘2-AP(2-acetyl-1-pyrroline)’라고 불리는 물질이 팝콘 냄새의 핵심이었답니다.2-AP는 암컷에 비해 수컷이 더 많이 가지고 있었어요. 즉, 수컷의 오줌에서 냄새가 더 많이 나는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달리 꽃 여러개가 모여나는 특징이 있지요. 이 종은 지금껏 일본에서만 자라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지난해 봄에 국립수목원의 박사님들이 전남 여수시의 섬 지역에서 자라는 섬진달래를 발견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섬진달래와 비슷한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약 550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참석자 황기태 학생(서울 하나고 1학년)은 “하루 종일 강연이 이어졌지만 주제와 강연 방식이 달라 지루하지 않았다”며 “뇌공학자의 꿈을 이루는 데 유익한 강의가 많았다”고 말했다 ... ...
- [지구의 날 특별 프로젝트] 멸종위기 못친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등을 한 동물은 6월 1일자 표지 주인공이 된답니다.못 지켜준 친구 한 종당 지지자가 한 명씩 있어요. 각 지지자는 그 동물을 지지하는 동영상을 통해그 동물에게 투표해 달라는 메시지를 여러분께 보내왔어요. 여러분은 지지자들이 찍은 영상을 보고,가장 매력적이라고 생각되는 ... ...
- [과학뉴스] 탄소를 사이좋게 나눠 쓰는 나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른 나무로 옮겨가는 현상을 발견했답니다. 심지어 독일가문비나무뿐만 아니라 다른 종의 나무와도 탄소를 공유하고 있었지요.쾨너 교수는 “숲은 나무들이 서로의 생명을 공유하는 장소”라고 밝혔어요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신경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연구자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PART 2. 제2의 게놈 ... ...
- [과학뉴스] ‘만찢’ 오징어, 영국 탐사팀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생하게 담겼다.주머니귀오징어는 문어를 닮은 것처럼 보이지만 갑오징어에 가까운 종이다. 몸통이 끈끈한 점액으로 덮여 있고, 바다 밑에 난 구멍에 숨어 새우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북태평양 바다 수심 300m 지점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번에는 특별히 수심 900m 해저에서 발견됐다.만화 속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