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5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별자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별자리는 다소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지만 4등급 이상의 밝은 별은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관측자들도 아주 맑은 밤하늘 아래서만 이들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나 관측자들에게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01
백두산의 자연에 대한 정보도 많이 축적할 필요가 있다.쾌적한 온대기후한반도
면적
의 약 3배에 달하는 중국 동북지방땅(대략64만 ㎢)은 흑룡강(黑龍江)과 길림(吉林) 두 개의 성(省)으로 이루어지며, 고구려시대에는 민족의 활동무대이기도 했다. 중국 동북지방 벌판을 동서남북으로 마구 흐르고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12
6백기압이 되어 잠수선의 구조물은 6백기압에 견디도록 설계돼야 한다. 엄지손가락의
면적
에 성인 열명이 올라가 있는 것과 같은 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잠수정의 개발에는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료인 초고장력강이나 티탄합금이 사용되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앨빈호와 같이 완벽한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12
그 남미대륙에서도 남위 39°이남의 지역을 사람들은 파타고니아(Patagonia)라고 부른다.
면적
이 한반도의 약4배(80만㎢)에 이르는 이 지역은 태고의 신비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그 서쪽의 태평양 연안에는 안데스산맥(파타고니아 안데스)이, 동쪽의 대서양 연안으로는 팜파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11
우라늄 238은 어떻게 될까. 그럴 경우 틀림없이 도플러효과에 의해 중성자에 대한 흡수단
면적
이 커질 것이다. 따라서 어느 시점에 이르면 우라늄 238에 흡수되는 중성자의 수가 새로 생성되는 중성자의 수보다 많아지게 될 것이다. 결국 원자로는 미임계 상태가 되므로 출력은 다시 감소하게 된다. ... ...
루마니아
과학동아
l
199111
지형과 기후 덕분에 루마니아의 동식물 세계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숲은 전국토
면적
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으며 알프스산맥의 연장지역에는 전나무와 소나무가, 산악지대에는 너도밤나무 떡갈나무가, 평야에는 물푸레나무 아카시아 보리수가 무성하다. 그리고 강줄기를 따라서는 백양나무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11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광경 중의 하나일 것이다.이중성단의 각각은 보름달보다 더 큰
면적
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두 성단은 완전히 쌍둥이는 아니다. 페르세우스자리 h별로 알려진 NGC869가 둘 중에서 좀 더 별이 꽉 차 있다. 그 옆의 성단은 크사이(χ)별로 알려진 NGC884로 일단의 적색 거성들을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11
위성은 1백50여개다.쓰레기 크기가 10㎝ 미만의 미물은 원격 감시가 어렵다. 표
면적
1백㎡인 위성이 1년에 한번꼴로 1㎜ 정도의 우주쓰레기와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그러나 이것은 평균치이므로 상황에 따라 위협 기대치는 더 커질 수도 있다.현재 위성간격은 평균 3°로 유지할 수 있다.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10
23°27' 기울어져 있지 않고 태양이 적도 위에만 있다면 지구에서 생물이 살 수 있는
면적
은 지금의 반으로 줄어 들었을 것이다. 지구의 자전속도가 지금보다 느리다면 낮에는 기온이 너무 뜨거워서 생물들이 타 죽을 것이고 밤에는 얼어 죽을 것이다. 예를 들면 달은 14일은 낮이고 14일은 밤인데,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09
3, 4월 말까지 겨울잠을 잔다. 이때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기 위해 될 수 있는 한 몸의
면적
을 작게 한다. 호흡수와 맥박수도 아주 적어진다. 겨울잠을 자고 있는 동안 고슴도치의 감각은 거의 없어진다. 심지어는 머리를 잘라도 심장의 고동이 어느정도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증명됐다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